이번에 관세 관려하여 어떻게 될거라고 예상하시나요??
이번에 관세가 25%가 될까요?? 아니면 협상을 잘 하여 15%정도가 가능할지 궁금하네요 서로 관세를 내게 된다면 서로에게 어떤 이점과 불이익이 있을까요?? 왜 관세를 내게 하려고 하는 것인지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관세는 상호관세 15%, 자동차/부품 관세도 15%도 확정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관세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는 재정적인 부담이 그리고 미국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물품의 가격상이라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다만 미정부만이 세수증가를 얻게 될 듯 합니다. 이러한 관세를 통하여 트럼프는 미국내 제조를 확충하고 세수를 확보하고 추가적으로 미국 경제를 부흥시키고자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이 결국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미국 경기침체를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의견이 더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5퍼센트 관세 가능성,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습니다. 미국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국 산업 보호와 중국 견제라는 프레임을 더 세게 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도 이 틀 안에 끼일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식 협상은 기본적으로 압박 후 양보입니다. 처음엔 높은 관세를 언급하고, 나중에 조건부로 낮춰주는 식입니다. 15퍼센트 정도로 타협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되려면 우리나라가 자동차나 농산물 같은 민감 품목에서 뭔가 내주는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서로 관세를 물게 되면 단기적으론 수출입 가격 경쟁력 떨어지고 물가에 영향 줍니다. 다만 미국 입장에선 중국산 견제하면서도 동맹국들과의 무역 균형을 맞추는 효과도 노리는 걸로 보입니다.
관세 인상은 정치적 카드입니다. 경제 논리보다 국내 여론과 안보 동맹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 숫자보다 맥락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