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건강한호랑이209
건강한호랑이20920.08.08

액면분할에 관해 질문합니다ㅎㅎ

액면분할에 관심⍤⃝𓂭 생겼는데 하는 이유가 궁금하고 또 액면분할을 하게 되면 주가에 미치는 영향⍤⃝𓂭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하게된 이후에 장기적으로도 영향⍤⃝𓂭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액면분할은 쉽게 말하자면 1주 단위를 가볍게 줄여서 보다 사고팔기 수월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 자체의 가치나 지분 구조 등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으나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주가 변동의 요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주가가 많이 올라 한 단위의 가격이 높으면 사고 파는 데에 따른 부담이 클 수 있어 액면분할을 할 경우 소액 투자자 유입이 늘고 거래가 활발해질 것에 대해 기대를 하게 되어 직후 주가가 상승하기도 합니다. 반면, 이러한 변동성으로 인해 주가가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우려 또한 존재합니다.


  • 액면분할 자체는 장기적으로 본다면 주가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주가는 결국 회사의 본래 가치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때문입니다. 물론 주가가 꼭 이성적 합리적으로만 움직이는 것은 아니지만요.

    액면분할의 이유로는 한주의 주가가 너무 높거나 유통량이 부족할 때 하게 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한 주의 주가가 너무 높아 액면분할을 하게 되었고 롯데제과나 롯데칠성,kt서브마린의 경우 주식 유통량이 부족해 거래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했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롯데제과나 칠성은 한주의 주가가 너무 높기도 했고요.


  • 예를 들어 액면가액 5,000원짜리 1주를 둘로 나누어 2,500원짜리 2주로 만드는 경우이다. 이론적으로는 액면분할에 의하여 어떠한 캐피털 게인(자본이득)도 발생하지 않는다. 예컨대 액면가액 5,000원의 주식이 시장에서 1만 5,000원에 거래되는 경우, 액면가액 2,500원의 주식 2주로 액면분할한다면 그 주식의 시장가격도 7,500원으로 하향 조정되어 주주의 자본이득은 발생하지 않는다.

    주식의 액면분할은 일반적으로 어떤 주식의 시장 가격이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어 주식 거래가 부진하거나 신주 발행이 어려운 경우 등에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에 액면분할을 함으로써 주당 가격을 낮추어 주식 거래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히 자본 이득이 발생하는 심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