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7.30

마부작침(磨斧作針)의 정확한 뜻이 궁금합니다

동양철학과 관련된 여러가지 일화를 읽던 중에 마부작침이라는 사자성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어디선가 들어본 적은 굉장히 많은데 명확한 뜻을 모르겠어서 답답하네요. 이 사자성어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과 인내로 성공함. 끈기 있게 학문이나 일에 힘씀. 磨斧爲針(마부위침). 磨杵作針(마저작침).

    詩仙(시선)이라 불렸던 당나라의 시인 李白[이백: 자는 太白(태백), 701~762]의 어렸을 때 이야기이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蜀(촉) 땅인 成都(성도)에서 자랐다. 그때 훌륭한 스승을 찾아 象宜山(상의산)에 들어가 修學(수학)했는데 어느 날 공부에 싫증이 나자 그는 스승에게 말도 없이 산을 내려오고 말았다. 집을 향해 걷고 있던 이백이 계곡을 흐르는 냇가에 이르렀는데 한 노파가 바위에 열심히 도끼(일설에는 쇠공이[鐵杵철저])를 갈고 있었다.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바늘을 만들려고 도끼를 갈고 있다[磨斧作針].” “그렇게 큰 도끼를 간다고 바늘이 될까요?” “그럼, 되고 말고.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이백은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이란 말이 마음에 걸렸다. 여기서 생각을 바꾼 그는 노파에게 공손히 인사하고 다시 산으로 올라갔다. 그 후 이백은 마음이 해이해지면 바늘을 만들려고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던 그 노파의 모습을 떠올리곤 분발했다고 한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하는 일,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 끈기 있게 학문이나 일에 힘씀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

    출처 : 한자성어, 고사명언구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부작침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노력하면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의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도끼를 갈고 있던 노인을 보면서 이백은 크게 깨달은 바 있어 그 후로는 한눈 팔지 않고. 글공부를 열심히 하였다고 하는 데서 이야기는 전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