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23.08.11

견마지로(犬馬之勞) 라는 사자성어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견마지로(犬馬之勞)' 라는 한자성어에 대해서 참 많이 들어왔던것 같은데요. 오늘 인문학 서적을 읽어보다가 이 사자성어때문에 내용이해가 완벽하게 되지 않더라구요. 명확한 의미를 알고 싶어 전문가 선생님들께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8.1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마지로(犬 : 개 견 馬 : 말 마 之 : 갈 지 勞 : 힘쓸 로)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한 말로써 본래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 또는 수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바치는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거나, 또는 주인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어로 굳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마지로


    [ 犬馬之勞 ]


    요약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한 말.


    犬 : 개 견


    馬 : 말 마


    之 : 갈 지


    勞 : 힘쓸 로



    본래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 또는 수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바치는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거나, 또는 주인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어로 굳어졌다. '견마'는 신분이 낮거나 미천한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개나 말 같은 비천한 사람'을 가리켜 '견마지류(犬馬之類)'라고 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마지로(犬馬之勞)란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어로 쓰입니다.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로는 '견마지성(犬馬之誠)' '견마지심(犬馬之心)'이 있습니다. 소설 “삼국지”에서 주인공 중의 두 사람, 유비와 제갈량. 삼고초려 (三顧草廬)를 통해 제갈량을 얻기 위해 몸소 그가 사는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갔다는 이 일화에 묻혀, (犬馬之勞)는 그리 잘 알려지지 않은 고사성어인데 제갈량이 세 번 찾아온 유비에게 그의 부탁을 허락하면서 “견마지로 (犬馬之勞)”를 언급하면서 “대공께서 저를 버리지 않으신다면, 견마지로 (犬馬之勞)를 아끼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래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 또는 수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바치는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거나, 또는 주인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어로 굳어졌다. '견마'는 신분이 낮거나 미천한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개나 말 같은 비천한 사람'을 가리켜 '견마지류(犬馬之類)'라고 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에는 '견마지성(犬馬之誠)', '견마지심(犬馬之心)'이 있고, 유사한 표현에는 '한마공로(汗馬功勞)', '한마지로(汗馬之勞)'가 있다. '한마공로'나 '한마지로'는 모두 전쟁에서 세운 큰 공로나 탁월한 업적을 비유하는 말로, 나라를 위해 전장에서 땀을 흘리며 충성을 다한다는 뜻이다. 전자는 《사기》〈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에, 후자는 《한비자》〈오두(五蠹)〉편에 나온다.

    출처 :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마지로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한 말입니다.

    주인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개와 말의 노력, 즉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일컫는 표현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견마지로(犬馬之勞)는 '개와 말의 수고'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온갖 수고를 아끼지 않는 충성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주역』의 「계사」편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계사」편에는 "임금이 신하를 섬기는 것과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은 개와 말의 관계와 같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임금과 신하가 서로를 위해 온갖 수고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말입니다.


    견마지로 사자성어는 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신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사자성어는 윗사람을 위해 온갖 수고를 아끼지 않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마지로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한 말입니다.


    犬 : 개 견


    馬 : 말 마


    之 : 갈 지


    勞 : 힘쓸 로


    ​본래는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 또는 수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임금이나 나라를 위해 바치는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거나, 또는 주인이나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어로 굳어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이나 윗사람에게 바치는 자기의

    온갖 노력을 개와 말에 비유해 낮추어

    하는말로, 자신의 수고로움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