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빠른원앙254
빠른원앙25423.02.03

통합사회 채권 시세차익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주식과 채권을 공부하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채권은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채권 자체를 되팔아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서 시세차익이 생기는 예를 구체적으로 들어주셨으면 좋갰습니다

그리고 채권이 왜 유동성이 낮은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기업, 정부 또는 기타 조직이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 증권입니다. 투자자가 채권을 구매할 때, 그들은 기본적으로 이표 지급이라고도 하는 주기적인 이자 지급과 만기 시 채권의 액면가 또는 원금 반환에 대한 대가로 발행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

    채권의 시장 가격은 금리 변화, 발행자의 신용도 변화, 채권 시장의 수요와 공급 역학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채권의 자본 가치 상승 또는 자본 감가 상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액면가가 $1,000이고 표면이율이 5%인 채권을 매입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채권은 연간 이자로 50달러를 지급하며 투자자는 만기 시 액면가 1,000달러를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수익률도 상승하여 투자자가 보유한 채권의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결과적으로 채권의 시장 가격이 하락하여 투자자의 자본 손실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수익률이 낮아져 투자자가 보유한 채권의 매력도가 높아지고 시장 가격이 상승하여 투자자의 자본 이득으로 이어집니다.

    채권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주식과 같은 다른 금융 상품에 비해 유동성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채권 시장은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보다 규모가 작으며 투자자가 적고 거래 가능한 채권이 적을 수 있습니다.

    • 채권에는 특정 만기일과 이자율이 있어 채권의 정확한 조건에 관심이 있는 구매자를 찾기가 더 어렵습니다.

    • 채권 시장은 덜 투명하기 때문에 투자자가 채권의 가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 결과, 특히 투자자가 채권을 빨리 매도해야 하는 경우 채권을 매도하는 것이 더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채권의 시장 가격은 거래 규모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거래 규모가 클수록 시장 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금리가 10%인 상황에서 채권을 샀는데, 금리가 추후 5%로 떨어지게 되면 '채권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이 경우 채권시장에서 이 채권을 팔면 시세차익을 거둘 수가 있고, 채권의 경우 주식과 다르게 시장 밖에서 거래되는 '장외거래' 위주라서 유동성이 낮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