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싹싹한다향제비180
싹싹한다향제비18022.03.02

뛸 때 정강이쪽 통증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나이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뛰거나 빠르게 걸을 때 정강이쪽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뼈를 기준으로 바깥부분 근육이 특히 아픕니다. 통증의 이유가 무엇인지, 통증 해결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운동을 많이 한 경우, 정강이 바깥 부분 근육이 주로 지탱을 하기 때문에 타박상을 자주 입게 되어

    만성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주 마사지를 해줘야 하지만 생각보다는 어려우며 간혹 스트레스 골절로

    인해 Fibula bone 에 피로 골절이 온 경우도 통증이 올 수 있어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 X-ray 촬영을

    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정강이 통증의 원인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달리기나 파워워킹(하이킹 등) 중 다리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다리 근육과 건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정강이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리에서 발이 바깥쪽으로 과도하게 회전(회외)하면 정강이통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해당 부위는 앞정강근으로 보입니다. 해당 근육이 과사용 되거나 손상이 있을 경우 통증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정확한 진료를 위해서는 직접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셔야 확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스포츠 손상의 경우 휴식, 거상, 아이스팩, 압박 등을 통해 손상을 최소화하고 필요에 따라 진통제 등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힘드시면 증상 조절위해 약(진통제, 근이완제)을 받거나, 아니면 찜질 같은 것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진료보시고 mri 필요여부 확인해보세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로 치료를 해야되는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

    작성하신 글에서는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03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정강이 바깥부분은 달리기에서 흔히 피로를 느끼는 부위로 운동을 반복해도 근육량이 늘기 어려운 부위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증상이 발생한 것이라면 단순염좌 및 근육통, 심할경우 운동유발 구획증후군 등을 의심해 볼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실 경우는 가까운 정형외과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이 말하는 증상은 전경골근이라 불리는 근육의 통증으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전경골근은 종아리에 있는 근육 중 하나로 정강이 앞쪽에 있는 근육입니다. 전경골근은 발을 발등으로 잡아당기거나 안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며 발을 고정시켜 걸을때 발이 끌리는 것을 방지하고 서있을 때 균형을 유지하게 합니다. 급하게 달릴경우 발을 발등으로 잡아당기면서 달리게 되는데 이럴 경우 전경골근이 쉽게 피로해지면서 근육통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준비운동을 잘해주시고 너무 무리해서 운동을 하지 않으며 운동이후에 냉찜질을 해주는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스트레스성 골절 등을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