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엄청난오솔개119
엄청난오솔개11923.03.29

뱅크런이 어떨 때쓰고 무슨 뜻인가요?

요즘 뱅크런이라는 단어가 기사및 뉴스에 많이 보이는데 뱅크런이 어떨 때 쓰는 단어이며 무슨뜻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뱅크런이라는 단어는 '은행에 사람들이 달려간다'라는 것인데, 이는 사람들이 은행이 부실화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인들이 은행에 예치한 예금을 인출하려고 은행에 달려가는 행동을 비유한 것입니다. 이러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은 고객이 예치한 예금을 재원으로 하여 대출을 하거나 혹은 다른 투자를 해서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수익금으로 고객이 맡긴 예금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게 되는데, 만약 대출이 부실화가 발생하거나 투자를 했던 상품의 손실이 커져서 회수가 힘들어지게 되는 경우 은행들은 예금을 맡긴 고객의 돈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소액의 대출 부실화가 발생하는 경우는 은행이 보유한 예비금으로 지급하게 되지만 다수의 대출 부실화나 고액의 대출 부실화가 발생하면 고객들은 은행이 예금을 돌려주지 못할 수도 있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고객들은 본인들이 맡긴 예금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불안감의 상태가 고조되면 은행에 한 번에 돈을 찾아가려는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이런 사태를 '뱅크런'사태라고 부르게 됩니다. 뱅크런사태가 발생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은 고객에게 예금 100억원을 받아 예치

    • 은행은 고객의 자금을 PF대출에 투자

    • PF대출의 연체와 부실화 가능성이 이야기 되기 시작

    • 고객 B는 불안한 마음에 은행에 맡긴 예금을 해지

    • 은행은 PF대출을 회수해서 B에게 돈을 지급하려고 하나 PF대출이 부실화가 되어서 돈을 회수 불가

    • 고객 B에게 줄 돈을 여러가지 이유를 대면서 지연

    • 은행의 돈 지급이 미뤄지는 이야기가 퍼져나감

    • 은행에 돈을 맡긴 고객이 전부 몰려와서 돈을 찾아가려고함

    • 은행은 돌려줄 돈이 없어서 결국은 파산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특히 저축은행에서 많이 보였습니다만

    은행이 시민들의 돈으로 투자를 하는데 투자가 망하거나

    비리등의 사유로 지급여력이 줄어든다는 기사나 정보가 나오면

    이곳에 저금한 시민들이 공포를 느끼고 모두 인출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bank-run)은 용어가 주는 의미처럼 은행으로 달려가는 것입니다. 은행에 달려 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본인의 예적금을 지키기 위해서 달려 가는 것인 바, 해당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고객들이 자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은행으로 몰려 가게 됩니다.

    이런 경우 해당 금융기관은 고객들의 인출 요구에 모두 대응하기 힘들어지고 지급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최근 미국의 실리콘밸리 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여 파산 후 다른 은행에 피인수 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은행 대출이 부실화 될 위험이 있고 이럴 때 은행은 예금을 못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인출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단기간에 예금인출을 요구하면 은행은 해당 예금을 일시에 지급하기는 어려움으로 은행은 부도가 날수 있습니다.

    이럴때 지칭하여 뱅크런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