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8.14

서양인들이 문어를 먹는 것을 꺼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에는 많이 나아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서양에서는 원래 문어나 오징어를 잘 먹지 않았다고 들은 기억이 있는데요.

동양에서는 문어를 잘 먹는 편인데 반해서

서양에서 문어를 잘 먹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에서는 문어가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뼈가 없고 머리 모양이 기괴하며 수많은 다리를 가진 모습이 기괴했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에서는 문어의 촉수를 입술로 보며, 덩치가 큰 문어나 오징어에서 모티브를 얻은 문학이나 전설 속의 괴수들을 봐도 이에 대한 혐오가 문화에 반영되어있습니다.

    서양에서 이것들을 먹지 않는 것에 대해 성경 레위기에서 비늘없는 생선은 먹지 말라고 한 것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오해인데, 이는 무섭게 생겨서 못먹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교적인 이유 에서 입니다. 성경의 구역 성서에서는 문어는 악마의 물고기라고 해서 먹기를 꺼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북유럽 쪽에서는 문어를 식자재로 취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어의 주 소비국은 일본으로, 세계 총 어획고의 3분의 2에 맞는 약 14만 톤을 소비하고 있고 그 다음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이다. 문어는 회, 튀김, 조림, 볶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된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서는 제사상에 올리면서 귀히 여기지만 서양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해 혐오스러운 바다동물의 대명사로 간주되어 데빌피시(Devil fish)라 불린다.


    그래서일까 자본주의 기업가들이 눈에 보이는 대로 기업을 확장하여 중소기업의 터전을 앗아가는 것을 두고 ‘문어발 경영’이라고 부른다.

    출처 : 이미지 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