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나무777
나무77723.11.19

우리나라에도 치즈를 만드는 곳이 있나요? 있다면 언제부터 치즈를 만들기 시작했나요?

질문과 같이 우리나에도 치즈를 만드는 곳이 있나요? 있다면 언제부터 치즈를 만들기 시작했나요?

치즈는 외국에서 들어온 것 같은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벨기에 출신 선교사 지정환(본명 디디에 세르스테반스) 신부가 1966년 전북 임실군에서 치즈 제조를 위해 산양을 키우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1968년 프랑스에서 치즈 기술자가 방문하여 카망베르 치즈를 제조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보급에 실패하였으며, 1969년 지정환 신부가 직접 유럽에서 치즈 제조 기술을 배워1970년 체더 치즈를 만들었으며 점차 한국형 임실 치즈를 생산했습니다. 현재 임실치즈는 공장운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치즈를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치즈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부터이며, 벨기에 출신 지정환 신부가 임실성당에 부임하면서 치즈산업의 시초를 열었습니다. 당시에는 값비싼 젖소를 구입할 수 없어 산양 2마리를 구입해 치즈를 생산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실치즈가 우리나라 최초의 치즈 브랜드라고 합니다.

    1958년 벨기에에서 선교사로 파견 온 천주교 전주교구 지정환(디디에 엇세르스테번스) 신부가 산양유를 이용해서 산양유 치즈를 만든 것이 시초입니다. 한국에서 낯선 산양유가 잘 팔리지 않자 공장을 세운 후 산양유로 치즈를 만들기 시작했으나, 제조기술이 떨어져 품질좋은 치즈가 생산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지정환 신부는 산양유가 아닌 우유로 치즈 생산에 들어가고, 3년간의 고생 끝에 해외에서 기술을 배워와 비로소 1969년 카망베르 치즈 생산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는 주한미군 부대에서 빼돌려 불법유통되는 치즈가 전부였던 시절 한국 최초로 치즈 생산에 성공한 역사적 순간이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 지역은 유제품 자체는 4세기 부터 왕실과 귀족들을 중심으로 유가공품인 락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 4세기 혹은 그 이전부터 공급된 것으로 보입니다.

    본격적인 치즈 유입은 1950년대 당시 미군부대를 통해 어느정도 이뤄졌을 것으로 보이며 국내 자체생산은 1958년 한국에 온 벨기에 출신 가톨릭 선교사 지정환 디디에 신부가 이후 전북 임실군에 설립한 임실 치즈 공장에서 처음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