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6조 직계제의 역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태종 때 6조 직계제를 시행하고 세종 때 의정부 서사제로 바뀌고 세조 때 6조 직계제로 바뀌었는데 그 후의 6조 직계제의 역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숙종 때, 이조전비 체제가 도입되면서 양계청, 갑계청 등 기존의 6조 직계제에 대응하는 새로운 체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그리고 19세기 중반, 대동법 개혁 이후 국가의 각종 직무부처에서 서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생기면서 6조 직계제가 부분적으로 도입되기도 했습니다. 이후 국가 체제가 현대화되면서 6조 직계제는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 시기에 문하부 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 왕의 직속 기구화하여 본격적으로 간관들이 훈신들을 견제할수 있게 하고 세조 시기에 도승지가 기존 삼정승의 위세를 견제하여 정치균형을 이루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6조 직계제가 폐지된 후에도 살아남아 국가 권력의 일부 비대증상을 막고 균형을 이루게 하는데 이바지 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국대전 체제는 의정부가 최고합의기관이므로 의정부 서사제에 가깝습니다. 태종과 세조는 훈신의 억제와 왕권강화의 목적으로 6조 직계제를 실시했습니다. 세종은 명확히 의정부 서사제를 시행했습니다. 왕권의 강약과 의정부와의 역학 관계에 따라 의정부의 역할과 권한행사의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왕대에는 이 둘이 섞여 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