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1932년 일제가 한 농촌 진흥 운동의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1932년 일제는 춘궁 퇴치, 차금 퇴치, 차금 예방

이렇게 세가지 목표를 내세우고 농촌 진흥 운동을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제가 저런 농촌 진흥 운동을 한 본질은 무엇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대/일제강점기

      1932년 일제가 수립·추진한 식민지 농업정책. 당시 조선농민의 궁핍화는 매우 심각하여 저항운동이 치열해지고 있었고, 일본의 대륙침략이 본격화함에 따라 식민지 농업정책도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일제는 <춘궁퇴치> <차금퇴치(借金退治)> <차금예방>의 세 가지 목표를 내세우고 조선농촌의 <자력갱생>을 도모하는 농촌진흥운동을 일으켰다. 이는 지금까지의 지주중심 농업정책에서 농민 중심정책으로의 전환을 표방한 것이었으나, 본질적으로는 치열해진 저항운동을 통제하고 침략전쟁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선농촌을 재편성, 황국농민으로 갱생시키려는 식민지 파쇼정책의 하나였다.

      운동은 갱생 지정농가를 대상으로 농가경제갱생 5개년 계획을 세워, 각 도·군·면·읍 단위의 농촌진흥위원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경찰관과 하급관리를 동원, 치안정책과 농업정책을 일치시켰고, 학교·농회·금융조합 등이 농민지도에 직접 간여하게 했다. 농촌진흥운동은 농민의 빈곤화·몰락을 촉진, 소작쟁의를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았을 뿐이며, 36년 8월 조선총독이 우가키(宇垣一成)에서 미나미(南次郞)로 바뀌면서 사실상 중단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농촌진흥운동 [農村振興運動]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한국사사전편찬회)

    • 일제의 농촌 진흥 운동은 1930년대 일제가 한국의 농업 부문을 통제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경제적인 이유와 군사적인 이유를 가지고 추진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는 일제가 한국의 농업 생산력을 향상시켜 일본의 식량 안정과 경제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일본이 대규모의 군대를 유지하기 위한 식량 공급과 군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일제는 농업 기술 개선, 경작지 확대, 농업 기계화, 시설농업 도입 등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진흥 운동은 한국 농민들에게 식량 부족과 재산 상실, 농지 상실 등의 심각한 영향을 미쳤으며, 농업 자주성과 국가적 자립을 훼손하는 일이었습니다.

      따라서 일제의 농촌 진흥 운동은 한국의 농업과 농민들을 일본의 경제와 군사 목적에 맞추어 통제하고 희생시키는 정책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민중심정책으로서의 전환을 표방한 것이나 본질적으로는 치열해진 저항운동을 통제하고 침략전쟁을 뒷받침 하기 위해 조선농촌을 재편성, 황국농민으로 갱생시키려는 식민지 파쇼정책의 하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30년대는 일제가 대륙침략과 팽창을 꾀하던 때로 전쟁에 한창인 때입니다. 1920년대 대중운동을 어느 정도 인정해주던 때와 달리 1930년대는 민족말살정책을 폈으며 전쟁을 위한 동원에 농촌이 피폐해지고 이에 따라 소작인들의 삶이 어려웠던 때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적색 소작조합 등 사회주의 세력이 침투하고, 우파쪽에서는 농촌계몽운동이 활발해지자 이를 막기위해 펼친 정책이 농촌진흥운동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총 진흥 운동은 조선총독부 의 지휘아래 1932년부터 1940년까지 8년에 걸쳐 진행된 관제 농민운동dlsep 소작농 위주 농촌사회의 불만 을 억누르고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목적이 주된 것이었지만, 이어지는 태평양 전쟁 시기까지 시선을 연장하면 황국신민화 정책의 첫 출발점으로도 해석 가능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가경제가 철저하게 파괴되고 소작문제는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에 대해 재정도 부족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도 없는 총독부는 공황으로 인한 농촌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농촌 통제를 강화하고, 또한 그것을 통해 식민지 통치질서의 위기를 조금이나마 완화시키려 하였다.

      -출처: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