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요미 요미 귀요미
요미 요미 귀요미
24.03.11

생리 때 생리통 및 두통이 심합니다. 철분 부족하다고 약국에서 말하는데, 철분제 및 고기를 하루에 얼마나 먹으면 좋을까요??

나이
43
성별
여성

생리 시작 첫날에 생리통이 너무 심해서 전기 장판을 1시간 배에 대고 잠자고 난 다음 날부터 두통이 너무 심해서 약국 가서 상황 설명을 하니, 약사님께서 나이 드니깐 생리 피가 잘 안 모아져서 그런 것이기에 이것을 해결할 방법은 철분제 섭취를 해서 철분을 부족하지 않게 하면 된다고 하시네요.


저는 평소 디카페인 커피 라떼를 마시고 홍차 추출이 들어가는 콤부차를 즐겨 마십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하루에 고기를 얼마 정도를 먹어야 생리기간의 생리통 및 두통이 안 생길까요?? 하루에 한번 소고기 200g 또는 닭가슴 100g 정도 먹는데, 너무 부족한 양인가요??


그리고 철분제는 앞으로 매일 먹으려고 하는데, 생리기간에만 먹는게 나을까요?? 철분 과잉 섭취가 속 쓰리게 한다고 하기에 적절한 섭취량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생리통과 두통으로 고생하시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생리 중 철분 부족은 흔한 문제이며, 적절한 철분 보충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식사를 통한 철분 섭취량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소고기 200g에는 약 4.2mg, 닭가슴살 100g에는 약 0.4mg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일일 권장 철분 섭취량은 18mg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 섭취량으로는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철분이 풍부한 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세요:

    1. 붉은 육류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2. 가금류의 내장 (닭 간 등)

    3. 생선 (참치, 정어리, 굴 등)

    4. 콩류와 두부

    5. 시금치, 브로콜리 등 녹색 채소

    6. 건과일 (건자두, 건포도 등)

    커피와 홍차에 함유된 카페인과 탄닌은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니, 식사 시간과 철분제 복용 시간을 조절해 보세요.

    철분제 복용은 의사나 약사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보통 하루 권장량을 넘지 않는 선에서 복용하며, 생리 기간에 더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장기 복용 시에는 3개월에 한 번 정도 혈액 검사로 철분 수치를 체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위장 자극을 줄이려면 철분제를 식사와 함께 복용하세요. 변비가 생기면 하루 섬유소 섭취량을 늘리고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 도움됩니다.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도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적절한 철분 보충으로 생리 기간을 편안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우선 내과진료를 통해 실제로 빈혈이 맞는지를 검사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 혈새소와 철분, 저장철을 측정하여 철결핍성빈형을 확진하시는 것이 향후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좋습니다.

    철분은 신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미네랄로, 철분 부족은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생리통과 두통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철분의 적절한 섭취는 특히 생리 중이나 빈혈이 의심되는 경우 중요합니다.

    고기, 특히 적색육(소고기)는 철분이 풍부하여 철분 섭취의 좋은 원천입니다. 하루에 소고기 200g 또는 닭가슴살 100g을 섭취하는 것은 좋은 시작입니다. 하지만 철분의 필요량은 개인의 건강 상태,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양을 권장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인 여성은 하루에 18mg의 철분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생리 중이거나 빈혈이 있는 경우 더 많은 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