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한결같은백로195
한결같은백로19524.01.30

저녁노을이 생기면 왜 하늘이 붉어지는건가요??

날씨가 좋은날에는 저녁 노을을 구경하시는 사람들이 많던데 궁굼한건 노을이 생기면 왜 하늘이 붉어지는건지 이유가 궁굼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파란만장인생끝내자입니다.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된 형태로 우리에게 도달합니다. 이 중 가시광선은 파장이 짧은 순서대로 빨,주,노,초,청,파,보라색으로 구분됩니다.

    낮에는 태양이 지평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짧습니다. 따라서 모든 파장의 빛이 거의 비슷한 양으로 산란되어 우리 눈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낮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녁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워지면서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집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은 빛은 대기 중의 공기 분자와 자주 부딪히면서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빛만이 우리 눈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저녁에는 하늘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즉, 저녁노을이 붉은색으로 띠는 이유는 파장이 긴 빛이 산란이 적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긴 빛은 빨, 주, 노랑 등의 색을 띠기 때문에 저녁노을은 이러한 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숙한살모사28입니다.


    노을이 지는 원리는 공기 분자와 태양빛 간의 관계에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빛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총 7가지 색으로 구성되며 파장이 짧은 색일수록 공기 분자에 의해 산란이 잘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