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보통은재촉하는도마뱀
보통은재촉하는도마뱀

등이 아픈데 췌장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19

요즘 갑자기 몸에서 나타나는 현상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우선 식욕이 많이 떨어진 느낌이 듭니다. 19년동안 한번도 식욕이 적었던 적이 없는데 이번에 갑자기 느껴져서 당황스럽구요. 두번째로 다뇨를 한다는 겁니다. 하루에 거의 6-7번은 화장실이 가는거 같습니다. 세번째로는 머리가 많이 어지럽고 자주 피곤하다는 겁니다. 주중에 학교 다닐때 머리가 어지럽던적이 정말 없었는데 1주일 동안 학교 시간 내내 머리가 어지러웠고 밥 먹고 아주 살짝 구역질이 났습니다(구토까지는 하지 않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며칠전부터 등 통증이 생겼습니다. 많이 아픈건 아닌데 계속 해서 통증이 있습니다.

혹시 췌장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검사는 뭘로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우선 하루 6~7회는 다뇨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정상범주에 속합니다

    증상을 보니 위장의 식체증이나 위허한증으로 보입니다 한의원에서 침치료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조병원 의사입니다.

    소화기 내과나 내과로 가셔서 진찰을 우선 받아보시고 필요하다면 피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 췌장이나 기타 문제가 있는지 보면 되겠습니다. CT도 필요하면 할 수 있습니다. 췌장에 문제가 있으면 당뇨병이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은 다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뇨의 원인이 당뇨만 있는 것은 아니므로 eg. 물을 많이 마심, 커피, 수박등 이뇨작용이 있는 음식 섭취 등, 그냥 검사 한번 받아 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 걱정스러우시군요.

    1. 식욕저하는 반드시 췌장문제라 보긴 어렵습니다. 다른 여러 질환들에서도 식욕저하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하루 6-7회 화장실을 방문하는 것은 정상적입니다. 다뇨라 보기 어렵습니다.

    3. 어지럽고 자주 피곤한 증상은 식욕저하와 관련되어 함께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겠습니다. 구역감까지 동반한 것으로 볼 때 위염이나 식도염과 같은 질환에 대한 확인도 필요합니다.

    4. 등 통증은 근골격계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췌장염과 같은 질환에서도 등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니 확인은 필요하겠습니다.

    결과적으로, 가까운 내과에서 진료부터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검사가 필요한지는 진료 이후 결정이 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등 통증과 함께 식욕 저하, 다뇨, 어지러움, 피로감, 그리고 약한 구역질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췌장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다른 여러 가지 원인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췌장 문제, 특히 췌장염이나 췌장암은 등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욕 저하와 구역질 같은 소화기 증상, 피로감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뇨와 어지러움은 당뇨병이나 다른 내분비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체중 감소와 식욕 저하는 위장관 질환이나 다른 만성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날 때는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을 방문하여 증상을 상세히 설명하고, 기본적인 혈액 검사와 소변 검사를 포함한 종합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타깝지만 이야기 하신 내용 중에 췌장 쪽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등 통증 및 구역 정도만 있습니다. 해당 비특이적인 증상들을 통해서 췌장염 등 췌장 질환을 감별할 수는 없습니다. 우려스러우시다면 혈액검사, CT 등 정밀 검사를 통해서 감별을 해보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식욕 감소, 다뇨, 어지러움, 피로감, 구역질, 등 통증 등은 다양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췌장 문제일 가능성도 있지만, 다른 원인들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종합 건강검진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그리고 필요시 영상 검사(초음파나 CT)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시어 적절한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