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미국 2분기 GDP가 연률 3.8%나 상승한 배경이 뭔가요?

어제 미국 상무부에서 2분기 미국 GDP를 발표했는데 잠정치였던 3.3%에서 무려 0.5%나 상향한 3.8%로 발표했더군요.

미국이라는 큰 국가에서 3%나 상승한 것이 신기한데 미국 2분기 GDP가 연률 3.8%나 상승한 배경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2분기 GDP가 3.8퍼센트까지 상승한 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대형 IT 기업들의 실적이 좋았기 때문에

    이런 것으로 인해서 GDP가 오른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갑자기 GDP 수치가 크게 올라간 이유가 뭘까 싶으실 겁니다. 미국 2분기 GDP가 3.3%에서 3.8%로 상향된 건 소비랑 투자 기여도가 예상보다 높게 잡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업들의 설비투자랑 주거용 건설도 생각보다 괜찮았고, 민간 소비도 꾸준히 뒷받침됐습니다. 보기에 연준이 금리를 오래 올려놨는데도 미국 경제가 아직 버틸 체력이 있다는 얘기죠. 다만 정부 지출 같은 일시적 요인도 들어있어서, 이걸 그대로 앞으로도 이어질 거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용 견조 -> 임금, 소비 우지, 반도체, 클라우드 중심 설비 투자 회복, 연방, 주정부 지출이 합쳐진 결과입니다. 주택, 제조 리쇼어링도 하방을 받쳤습니다. 미국은 내수 비중, 재정여력 덕에 경기 방어력이 상대적으로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투자가 예상치 1.9프로보다 크게 증가한 5.7프로 나온게 큰 영향 중 하나라고 합니다

    그만큼 내수가 탄탄하고 소비가 받쳐주는게 미국이죠 원래 3프로 성장은 하는 나라인게 미국입니다 1프로 성장하는 우리나라가 문제인거죠!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2분기 GDP가 상승한 연유로는 소비자 지출이 기존보다 훨씬 상승했으며 수입이 감소하면서 무역수지가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회복되는 듯한 수치이지만 미국 경제가 완전한 회복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글로벌 경기 상황과 시장 흐름을 지켜볼 필요성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관세영향과 더불어 고부가가치산업군의 계속적인 성장세로 gdp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것은 수치일 뿐이며 문제는 현재 경제상황은 굉장히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AI산업의 폐해가 점차 드러나고 있으며 M7의 위험과 불안이 커지면 급속도로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현재 GPU대출과 더불어 벤더사를 통한 매출조작 등이 보이고 있는데요.

    이는 엔비디아가 다른 벤더사에게 투자를 하고 그 투자금을 다시 엔비디아의 GPU를 사는 곳에 쓰게끔하여 매출를 높이는 전략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문제는 GPU의 수요가 감소되고 굳이 더 좋은 GPU를 만들 필요가 없을 정도이며 새로운 혁신적이고 실생활에 유용한 제품이 나오지 않는 정체기에서 벤더사들의 수익이 약화됨에 따라 파산이 늘어나게 되면서

    산업군 전체가 도미노처럼 무너지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이 수치의 정확한 의미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연율 3.8%"는 분기 대비 성장률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한 값입니다. 실제로는 1분기 대비 약 0.9-1.0% 정도 성장했다는 의미로, 이를 4분기 연속 지속된다고 가정하여 연율로 계산한 것입니다. 연율 성장률=(1+분기 성장률)4−1 이런 구조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선 현재 미국 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은 개인소비이며 개인소비가 현재는 견조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고소득층에서 소비가 견조하고 쉽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소비부문에서도 여전히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가장 기여를 많이 하는것은 바로 정부지출과 기업투자입니다. 지금은 기업의 고정투자가 GDP성장에 전부 사실상 기여하고 있고 지금은 투자사이클로 성장하고 있고 그래서 미국의 빅테크나 주요기업들이 주가가 고공행진하는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에 대한 기업들의 적극적 투자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 반도체, 클라우드 인프라 관련 투자가 급증했으며,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투자가 전체 경제의 생산성 향상을 이끌었으며 리쇼어링과 프렌드쇼어링 정책의 영향으로 제조업 투자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전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반도체 및 과학법 등의 정책적 지원이 반도체, 배터리, 재생에너지 관련 제조시설 투자가 장기적으로 이어지게되고 여전히 현재 진행중이므로 GDP에 투자부문의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서 정부가 강력하게 투자와 관련되어서 지출을 증가하고 있고 트럼프 정부에서도 이 정부지출이 확대가 되면서 GDP가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국내총생산인 GDP가 상승한 이유는 다양합니다. 일단 국내에서 생산을 하여 소비를 하는 량이 증가했따는 것으로 이는 수입보다는 자국의 생산을 통한 수출이 증대가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의 소비가 해외 수입품이 아닌 국내의 물품 들이 많았다고 볼 수 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부의 소비나 지출 등의 예산의 확대를 통한 경제부흥도 하나의 요소였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관세 부과를 앞두고 나타났던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이 급감한 게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주된 요인이고 이와 함께 소비 지출의 증가로 경제 성장세가 살아났다고 분석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