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사업금을 모으기 위해 하는 바자회에서 바자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굼금한것이 참 많아서 탈인 늠름한 하운드156입니다.
질문과 같이 바자회에서 바자회는 어디에서 유래된 것이며 바자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자르', '바자'는 흔히 한국에서 '바자회' 할 때 그 바자의 어원으로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동남부 유럽과 인도 등 남아시아 일대, 서아프리카, 말레이시아 일대에서 열리던 정기 전통시장을 말합니다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말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하고 단지 순우리말이나 한자어일 것이라 오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뒤에 한자임이 명확한 '~회(會)'를 붙여서 쓰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느낌이 납니다. 따라서 '바자회'를 직역하면 '시장회', '장터회' 즈음 될 것이나, 실제로는 중동의 '바자르'와 한국의 '바자회'는 의미가 전혀 다릅니다
바자-회(bazar會) 「명사」
공공 또는 사회사업의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벌이는 시장. =바자.
【불우 이웃 돕기 바자회.】
【폐품이 수집되고 기부금이 모금되고, 곳곳에서 부인들 주동의 각종 바자회가 요란하게 개최되었다.≪홍성원, 육이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에서 바자회는 주로 '특정 목적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단체 내부에서 작은 규모로 만드는 일시적인 장터'를 말합니다. 특히 공공단체, 자선단체나 환경단체, 동물단체, 종교단체 등 비영리조직에서 주로 실시하며, 내용도 '이웃 돕기 바자회', '유기 동물 기금 바자회'와 같은 사회적인 것이 대다수입니다. 이 밖에 아나바다 운동이 한창 유행하던 시기에 관련 바자회가 자주 열리기도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자르 또는 바자, 수크는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동남부 유럽과 인도 등 남아시아 일대, 서아프리카, 말레이시아 일대에서 열리던 정기 전통시장을 말합니다.
이 바자르, 바자는 한국에서 바자회 할때 그 바자의 어원입니다.
안녕하세요.조사를 해본 결과 바자회는 페르시아어로 "시장"을 의미하는 "바자르(Bazar)"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바자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널리 볼 수 있는 시장으로, 다양한 상품과 음식을 판매합니다. 바자회는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열리며, 상인들은 텐트나 노점상에서 물건을 판매합니다.
한국에서는 바자회가 주로 자선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일시적인 시장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불우 이웃 돕기 바자회, 학교 축제 바자회, 군부대 위문 바자회 등은 모두 자선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바자회입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자회는 자선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일시적 상품 판매장 또는 자선사업으로 행하는 '전시즉석판매회'의 영어 'bazzar'에 회(會)를 결합해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자(페르시아어 bazar)는 공공 또는 사회사업의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벌이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보통 초등학교나 유치원에서는 학생 학부모 및 교사가 함께 모여 물품을 판매하거나 기금을 모으는 행사 또는 모금행사를 의미합니다. 바자회는 일반적으로 시장의 가격보다 싸지만 꼭 싸게만 파는 것은 아니며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설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