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에서는 부당한 이익을 취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것이 있다는데 무엇인가요?
이슬람에는 부자들도 많고 가난한 사람들도 많은데, 이슬람에서는 부자들은 필수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줘야 천국에 간다고 보는것 같은데, 이러한 부당한 이익을 취하지 못하도록 한 제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이슬람에서는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것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원칙이 이슬람 율법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중 핵심적인 제도는 리바(Riba), 가라르(Gharar), 하람(Haram) 금지 원칙입니다.
우선, 리바(Riba)는 이자를 의미하며, 이슬람에서는 돈을 빌려주고 추가적인 이익을 얻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이는 돈으로 돈을 버는 것이 노동이나 생산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부당한 이익으로 간주되며, 경제적 약자를 착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가라르(Gharar)는 과도한 불확실성이나 사기를 의미하는데, 결과가 명확하지 않거나 정보가 부족한 거래, 또는 일방적으로 불리한 계약 등을 금지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계약 내용이 모호하거나, 손해 가능성을 일방적으로 한쪽이 지게 되는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는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또한, 하람(Haram)은 율법상 금지된 것을 의미하며, 알코올, 도박, 돼지고기, 부도덕한 행위 등과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에서 이익을 얻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슬람 경제는 ‘할랄(Halal)’한 방식으로만 수익을 내야 하며, 그 외의 금지된 영역에서의 이익은 모두 부당한 것으로 간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