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자원이 없는 나라에서는 어떻게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까요?
세계적으로 석유, 리튬, 구리 등등의 천연 자원을 가진 나라에서는 그 자체만으로도 국가 경쟁력이 상승 하잖아요. 그런데 우리나라처럼 그런 자원이 없는 나라는 어떤 방법으로 국가의 경쟁력을 상승 시킬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천연자원이 없지만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인력자원을 잘 활용해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빠르게 이룩했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의 경우는 베트남 전쟁이 특히나 경제발전을 할 수 있었던 초석이 되었는데 이 전쟁으로 인해서 미국의 원조를 받고 철강산업과 조선업이 발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어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천연 자원이 없다면 결국 '인적 자원' 즉, 사람들의 지식과 지혜를 이용해서 국가 경쟁력을 높여야 하고 그 대표적인 나라가 우리나라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어버리면 소위 '경쟁'이 너무 심해져서, 국민 행복도가 낮아지는 폐해가 발생해 이에 대한 해결책도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천연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인적 자원의 개발을 주도적으로 합니다. 천연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인적 자원의 개발이 중요합니다. 교육, 기술, 연구개발 등을 통해 인적 자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산업 구조를 변화시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 입니다. 또한 산업 전략의 다변화도 중요 합니다. 천연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산업 전략의 다변화가 필요합니다. 첨단 기술, 서비스 산업, 문화 산업 등 새로운 산업 분야를 개척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천연자원이 없으면 그만큼 고부가가치 기술력으로 천연자원을 가공생산하여 판매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나 일본, 유럽의 여러 나라와 같은 상황이네요. 아시다시피 우리나라와 일본은 제조업 기반에 극단적 무역국가입니다. 이런 천연자원이 부족한 나라의 경우 첨단산업의 발달, 즉 고도의 지식&기술적 산업의 발달이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처럼
제조업에 있어서 강점을 보이거나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하는 것 또는
뛰어난 기술력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중간재 수출로 성장을 해왔습니다. 천연자원을 사와서 이걸 다시 다른 최종완제품에 쓰이는 중간부품 등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반도체가 있습니다. 아니면 완제품을 만들어 팔아도 되고, 결국은 수출이 중요합니다.
다가오는 AI시대에서는 교육으로 인한 인적자원이 큰 힘을 발휘하게 될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천연 자원이 없는 나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대한민국을 예로 들어보자면 천연 자원이 없었지만
반대로 인적 자원에 최대한 공을 들여서 그 단점을 보완하려고 했습니다.
다만, 반대 급부로 사람을 갈아서 세운 금자탑이란 소리가 있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원이 부족한 국가는 경제 구조를 다각화시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산업, IT 산업, 문화 및 창작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국내 시장 외에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