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3.12.29

상대습도, 절대습도, 비습도 차이는 무엇인가요?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습도가 몇% 라고 이야기를 할때는 상대습도를 이야기하잖아요.

예를 들어 겨울철 습도가 50%라고 하면 공기중에 떠있는 수증기양을 %로 나타내는것 같은데요.

상대습도와 더불어 절대습도도 있고 비습도도 있는데 이 것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상대습도: 상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 양과 포화 수증기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상대습도가 50%라면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포화 상태의 수증기 양의 50%만큼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절대습도: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실제 양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절대습도는 대기 중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상대습도와는 달리 상황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비습도: 비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량과 대기 중의 수증기의 포화 량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비습도가 높으면 공기가 건조하고, 낮으면 공기가 습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이야기하는 습도는 상대습도를 말합니다.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떠있는 수증기의 양을 현재 공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수증기 양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겨울철 습도가 50%라고 하면 현재 공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수증기 양의 절반만큼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절대습도는 공기 중에 실제로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상대습도와 달리 온도와 상관없이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20도의 온도에서 상대습도가 50%라면 절대습도는 10g/m3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비습도는 공기 중에 실제로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과 최대 수증기 양의 차이를 말합니다. 따라서 비습도는 상대습도와 절대습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공기가 얼마나 건조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 절대습도 비습도는 모두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지만 각각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상대습도는 현재 공기가 얼마나 습하고 건조한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절대습도는 실제로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며 비습도는 상대습도와 절대습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제가 일상생활에서는 주로 상대습도를 이야기하지만 과학적인 실험이나 연구에서는 절대습도와 비습도도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상대습도뿐만 아니라 절대습도와 비습도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공기의 건습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그 질량으로 나타낸 것이 절대습도이고,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현재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습도라고 합니다.

    비습도는 일정 질량의 공기에 대한 수증기 질량의 비율입니다. 다시 말해 비습도는 일정 양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 질량을 그 공기의 질량으로 나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