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매너있는 여새115
매너있는 여새115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왜 2.2%로 우리나라.미국과 다른가요?

전세계가 소비자물가지수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일본은 2.2%로 선방하고 있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일본은 역사적으로 저금리 기조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 보통 저금리를 유지하면 시중에 돈이 풀리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나타나 다시 금리를 올리는

        구조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 하지만 일본은 아무리 저금리여도, 대출에 있어서 매우 보수적인 집단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저금리 정책을 펼쳐도 문제가 없습니다.

      • 심지어 은행에 돈을 맡기면 마이너스 금리로 돈이 줄어든다고 해도 사람들이 소비를 안하는 나라입니다.

      • 지금과 같이 글로벌 경제가 힘들 때는 일본이 유리하겠지만, 반대로 성장도 없는 나라 입니다.

        그래서 일본은 잃어버린 10년이라는 말이 나오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미국의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저금리 정책을 펼친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임금도 상승하지 않고

      물가도 상승하지 않는 등 장기침체에 빠졌습니다.

      수치상으로는 일본 또한 2.2%밖에 물가가 오르지 않았으나 그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일본도 원자재 및 곡물가격 등의 수입단가 증가로 인하여 물가상승폭이 크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