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빼어난흑로12
빼어난흑로1223.02.24

하늘의 별은 어디에 있는건가요?

우주에 별이 있는거겠지만요.시골같은 곳에서 보면 밤에 별이 무수히 많이 있잖아요.그별들은 지구와 어느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별들은 지구와 매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가까운 별 중에서도 Proxima Centauri라는 별은 약 4.24 광년, 가장 먼 별 중에서는 13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별도 있습니다.

    별들의 거리를 표시하는 가장 흔한 단위는 광년(光年)이며,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를 나타냅니다. 이는 약 9.46 x 10^12k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Proxima Centauri 별이 약 4.24 광년 거리에 위치하므로, 이는 약 4 x 10^13km이며, 이는 매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별들은 은하계 내에 위치하며, 우리 은하 내에서 대략 10만 광년 정도의 지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로부터 우리 은하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약 5만 광년 정도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별(Star)은 우주에서 빛을 내는 천체로, 대부분 수소와 헬륨 등의 가스로 이루어진 대기와, 중심부에 위치한 핵융합으로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핵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별은 중력으로 인해 수소와 헬륨 가스가 핵심으로 모이면서 열과 압력이 상승하다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 도달하면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핵융합 반응에서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빛과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별에서 내는 빛의 원천이 됩니다.

    별의 크기와 질량은 각기 다르며, 크기는 지름으로 측정하며 질량은 태양 질량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또한, 별은 주변에 행성들을 끌어들이는 중력으로 인해 행성계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우리 태양도 하나의 별이며, 그 주변에는 행성들과 소행성, 혜성 등이 떠돌고 있습니다. 우주에서는 이와 같은 별들이 수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이들이 모여 은하를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에는 별, 행성, 혜성, 소행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있고 관측가능한 것들은

    기본적으로 빛이나는 별, 성운, 은하 등등이 있습니다.

    또한 행성이나 소행성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보기도 합니다.

    즉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들 중 가장 가까운것은 달이나 금성일 수 있고

    태양을 제외한 가장 가까운 항성은 약 4.2광년 정도 거리에 위치합니다.

    가장 가까운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로 약 250만 광년정도 멀리 있구요,

    따라서 하늘에 떠있는 천체들과의 거리는 매우 많인 편차가 있고 다양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의 거리는 모두 다르게 됩니다. 각 별마다 모두 다른거죠. 참고로 우주에는 지구에 있는 모든 모래알갱이의 숫자보다도 많은 행성이 존재합니다. 얼마나 큰지 인간의 지식으로는 알아낼 수도 없는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밤하늘의 별들과 지구의 거리는 매우 다양합니다. 일부 별들은 우리 태양계와 거의 같은 은하계(Milky Way) 안에 있지만, 다른 별들은 멀리 떨어진 다른 은하에 속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은하계 안의 가까운 별들은 약 4 광년 ~ 1,600 광년 정도의 거리에 있으며, 가까운 별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프록시마 켄타우리(Proxima Centauri) 별도 약 4.24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은하의 가장자리에 있는 별들은 수십만 광년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은하 바깥의 다른 은하에 속한 별들은 수백만 광년에서 수십억 광년 이상 떨어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각각의 별들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그 별이 어디에 속해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공간의 크기는 끝을 알 수 없을 정도이기에 별의 위치도 천차만별이겠죠? 일단 별을 영단어인 star는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만을 의미하는데 밤하늘에 보이는 별은 대부분 항성입니다. 달처럼 다른 항성의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있지만 그런 경우 항성에 비해 어둡기 때문에 태양계 보다 멀리 있는 별처럼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1광년은 대략 9조4607km 정도의 거리로 태양을 제외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르는 4.2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그 거리만 계산해 봐도 밤하늘에 별이 엄청나게 멀리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태양과의 거리는 1억5천만km정도 떨어져 있으며, 태양빛이 지구에 도달하는데 8분 20초 정도가 걸립니다. 항상 8분 20초 전의 태양빛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그 별의 종류와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계산과 기기가 필요합니다.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켄타우리(Proxima Centauri)까지의 거리는 약 4.24 광년(약 4만 km/s)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