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먹던 이유식을 갑작스레 안먹으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생후 6개월차에 이유식을 시작했고, 잘 먹어왔는데요. 분유와 병행하다가 이유식을 아기가 갑작스럽게 먹기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당황스러울것 같은데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이유식을 갑자기 먹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는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서, 피곤해서, 입맛이 없어서, 식감과 질감이 맞지 않아서, 이앓이, 배앓이, 소화가 되지 않아서, 변비가 있어서 등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아이를 유심히 살피어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체중이 줄고, 아이가 너무 이유식을 잘 먹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병원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이유식의 종류가 바꼈거나 아이의 입맛이 바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치아가 나기 시작했거나
아이의 건강 상태를 한번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잘먹던 이유식을 갑자기 안먹으려고 하는것은 아기가 먼가 불편함을 느껴서그럴겁니다 원인이 무엇인지 이유식을 바꿔보시고 찾아보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기가 먹던 이유식을 갑자기 먹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기가 좋아하는 맛이 바뀌었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먹이던 재료 외에도 다른 종류의 음식을 추가해보세요. 예를 들어 과일이나 채소를 섞어보는 것도 좋은 시도입니다.
너무 차가운 온도나 뜨거운 온도로 인해 아기가 불편함을 느꼈을 수 있습니다. 적당한 온도로 조절해주세요.
소화가 어렵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이 포함되었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먹인 음식을 확인해보고, 만약 의심되는 성분이 있다면 해당 음식을 중단하세요.
성장하면서 먹는 양이 줄어들거나 식습관이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기의 발달 상황을 고려해보면서 자연스럽게 적응하도록 유도해보세요.답변이 도움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신생아 시절에는 면역력이 아주 약한 상태이고 아이의 성질이 계속해서 바뀔 수 있는 시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잘먹던 분유도 몸에 맞다가 맞지 않다가를 반복하기 때문에 배앓이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앓이를 하게 되면 분유를 계속해서 바꿔서 아이에게 정착이 되는 분유를 찾아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부모님께서는 부지런하고 아이들을 잘 관찰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잘 먹던 이유식을 먹지 않겠다는건 입맛에 맞지않을수있습니다 이유식을 다른방식으로 하시던가 걱정되시면 소아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생후 6개월차에 이유식을 시작했고, 잘 먹어왔는데요. 분유와 병행하다가 이유식을 아기가 갑작스럽게 먹기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당황스러울것 같은데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잘 먹던 이유식을 거부하고 안먹으려한다면 몇가지 이유를 들수 있습니다
목에 편도염이 있어서
이앓이에 의한 통증
양이 너무 많거나
맛이 없거나
너무 묽거나
아이를 관찰하신후 적절하게 대처해주심 되어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분유와 이유식을 병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기가 분유에 더 익숙해져 있다면 분유로 일시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또 아기가 편안하게 식사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새로운 맛이나 질감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잠시 이유식을 중단하고 나중에 다시 시도해 보세요.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이유식을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생후 6개월부터 이유식을 시작하고 잘 먹던 아기가 갑자기 이유식을 거부하면 부모는 당황할 수 있는데요. 이때 중요한 것은 먼저 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피곤하거나 아플 때, 또는 치아가 나는 과정에서 잇몸이 불편할 때, 또는 새로운 음식 맛이나 질감에 적응하기 어려워할 때 이유식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기가 편안한 상태에서 식사하도록 환경을 만들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너무 피곤하지 않은 시간대를 선택하거나, 식사 중간에 쉬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유식의 농도를 조금 더 묽게 만들거나 아기가 좋아하는 맛과 조합하여 조금씩 다시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음식을 도입할 때는 한 번에 너무 많은 변화를 주지 않고, 점진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아기가 여전히 거부할 경우, 분유나 모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며 이유식을 잠시 중단하고, 며칠 후 다시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기의 신체 상태를 고려해 너무 강압적으로 먹이려고 하지 말고, 식사 시간이 즐겁게 느껴지도록 도와주는 것이 장기적인 식습관 형성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