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튼튼한에이스
튼튼한에이스

노후 준비를 시작할 때 월급의 몇 퍼센트를 저축하는 것이 합리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아직 젊다고 생각해 준비를 미뤘던 노후가 점점 현실적으로 다가오네요 월급의 몇 퍼센트를 저축하는 것이 합리적인 출발점일지 궁금합니다 경험이나 조언을 나눠주시면 고맙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의 최소 10~15%를 시작점으로 여유가 되면 20%이상 권장됩니다. 소득 수준, 지출 구조에 맞춰 점진적으로 비율을 늘리는 게 합리적입니다. 중요한건 조기 시작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노후를 위해서는 월급의 15%정도를 저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또한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 가입하는 저축펀드 통장에 돈을 모아야지

      세액공제를 매년 타면서 돈을 효율적으로 모아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월급과 소득 성향에 따라서 다른 문제라 정답은 없겠지만 그래도 사회초년생 기준으로는 월급의 절반 이상은 저축이든 투자든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 준비라는 게 막연하게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 불안감이 커지곤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월급의 10퍼센트에서 20퍼센트 정도를 꾸준히 모으는 게 출발선으로 얘기되곤 합니다. 물론 생활비와 상황에 따라 비율을 조정해야 하는데 무리해서 큰 금액을 잡으면 오래 이어가기 어렵습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정기적으로 쌓아두면 복리 효과가 차곡차곡 쌓이기 때문에 시간이 제일 중요한 요소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어느 정도 자산이 있는 지랑 나이대 등을 고려하지 않고 말씀드리자면

    일단 퍼센트는 50% 정도이고 최소금액은 연 2,000만원은 모아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그렇게라도 해야 노후에 좋은 아파트는 아니더라도 빌라에 내 집 마련 정도는 할 수 있어 아쉬운 소리 안하게 되실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예비자금 (월급의 3~6배정도)는 항상 제외해두는 것이 좋구요. 저축은 그 이후

    저축을 할수 있는 최대한도(생활비제외) 를 저축하는것이 좋다고 답변드리고 싶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 준비를 위한 저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조건에 따라 다를 것인데

    혼자 사시고 부모와 함께 거주하신다면 월급의 6-70퍼센트까지

    독립하시면 월급의 3-40퍼센트까지

    결혼하시면 그래도 월급의 20퍼센트까지는 저축 및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 준비를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중을 저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30~50% 까지 저축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30대에는 월급의 20%~30%가 좋다고 합니다. 이때 사회초년생으로 가정을 이루는 시기이기 때문에 예비금을 더욱 많이 모으는게 중요합니다. 고정비 등 다 제외하고도 저축이 가능한 경우 더 모으시는게 좋으며 재테크를 통해 일부 조절하여 저축하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 준비를 한다고 하시면 월급의 특정 퍼센트를 저축하는 것이 아닌, 가능하면 사전에 돈을 모두 저축이나 투자를 하고 남은 금액에 대한 것을 소비를 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풍차돌리기라고도 하며, 일정한 비율을 먼저 뺴서 투자를 하거나 저축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고 남은 금액으로 소비를 하시면 노후에 도움이 되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미리 준비하신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준비는 나이가 어릴때 많은 비중을 해두는 것이 가장 좋지면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 50대이상이시고 자녀의 교육비가 더 들지 않는 다면 대부분의 여유자금(50%)을 노후자금을 위해 준비하시는 것이 필요하고 30,40대의 경우 현실적으로 10%수준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려울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