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20

우리나라에 담배가 전래된 역사가 궁금합니다.

담배가 외국에서 들어왔다고 들었는데 언제, 어느나라로부터 전래된 것인가요?

그리고 담배가 전해지기 전에 담배와 같은 역할을 했던 것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당시 남령초, 연다, 연주, 담박괴, 담파고 , 담바구 등으로 불렸습니다.

    즉 1681년 광해군 때 일본으로부터 전래되었습니다.


  • 담배는 오래전에우리나라에들어온것같지만 1592년 임진왜란을 통해 일본군에의해 알려집니다

    그당시에는 담배라고 안불르고 흔히 남령초라고 불립니다 (담배라고불린것은 조선후기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담배에대한 예절등에대한규제를정한것이나옵니다

    뭐 어른,스승앞에서 피우면안된다

    학동은 피우면 안된다 등등

    남령초(담배)는 그당시 약제로쓰엿는데요 가래를나오지않게하는 효과가있다고전해집니다

    남령초에대한문제점 은 우리나라에선뭐대신들이 금지하여야한다그랫는데요 담배에관한범죄는 우리나라보단 청나라 에서 발견되었는데요

    남령초에 대한 심각성을인지한 청나라조정은 수입을 금지하였답니다

    이런사건도>우리나라 한장사꾼이 남령초를 사가지고 국경을넘어가려다 걸려서 크게질책당하고 외교마찰이일어남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를 누가, 언제 우리나라에 처음 들여왔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 병사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었고 그때 담배가 들어오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만 있지요.

    영어로 'tobacco'인 담배는 일본에서 '다바코'라 불렸으며, 우리나라로 전해지면서 '담바구' 또는 남쪽 나라에서 들어온 신령스러운 풀이라는 의미에서 '남령초'로 불렸습니다.

    이익의 <성호사설>에는 "가래가 목에 걸려 떨어지지 않을 때, 소화가 되지 않아 눕기가 불편할 때, 한겨울에 찬 기운을 막는 데는 담배가 좋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당시 사람들에게 담배는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습니다.


    우리나라에 담배가 전해진 초창기에는 서당에서 훈장과 학도가 맞담배를 피웠으며, 조정의 공신들도 조회시간에 담배를 피웠습니다. 이에 격분한 광해군이 임금 앞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했고, 민간에게 전해져 어른 앞에서는 피우지 않는 것이 예절로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나라 왕 중에는 고종, 순종이 애연가로 알려졌고, 명성황후도 종이로 만 담배인 궐련을 즐겨 피웠습니다.


    개화기 때는 활동사진 전시회 입장료를 빈 담뱃갑으로 받기도 했고, 해방 정국에는 인천에만 사제(私製) 담배 제조소가 4,000여 군데나 있을 정도로 인기 품목이었습니다.

    우리 기술로 만든 최초의 담배는 1945년 광복을 기념해 조선군정청 전매국에서 내놓은 ‘승리’입니다. ‘승리’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이름에는 광복의 기쁨이 내포돼 있습니다.

    전후에는 ‘건설’ ‘파랑새’, 1960년대에는 ‘재건’ ‘새나라’ ‘신탄진’, 1970년대에는 ‘새마을’ ‘환희’ 등 출시되는 담배 이름에는 정치, 사회적 상황과 시대상, 정권의 구호 등이 반영됐습니다.


    <국정홍보 및 행사안내에 활용된 담배>

    1960년대 담배 표지에는 ‘환영 하이레 세라세 1세 이디오피아 황제 폐하 만세 대한민국 방문’이란 국빈 방문 기념 문구가 들어가기도 했고,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가 열린다는 소식이 적히는 등 정부의 국정 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됐습니다.

    1969년에는 청자가 출시됐습니다. 이 담배는 ‘노래는 추자, 담배는 청자’라는 유행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청자 담배를 피는 남자에게는 선도 보지 말고 시집가라’는 말이 나왔고, 담배 이름을 딴 '청자다방'도 전국에서 우후죽순 격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1980년대 출시된 '솔'은 군용 담배로 최고의 인기를 누렸으며, 200억 갑 이상 판매돼 국산 담배 중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렸습니다.

    이렇듯 담배에는 시대적 상황과 사람들의 애환이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