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선택할 때 pbr은 참고 지표가 아닌가요?
어떤 종목은 pbr이 굉장히 낮은데도 상승하지 않는데 다른 종목은 pbr이 굉장히 높아도 꾸준히 상승하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BR은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 수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홀로 사용되기 보다는 PER이나 ROE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
PBR이 낮은 미래 성장가능한 기술주경우 현재 낮은 수준이라고 해서 일방적으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분명히 주식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PBR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상승하는 것도 아니고, PBR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하락하는 것도 아닙니다. PBR이 낮다는 것은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자산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순자산은 많지만, 실제로 이익을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 매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현재의 자산 가치보다는 미래의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는 자산이 많더라도 미래 성장 동력이 부족하거나 산업 전망이 좋지 않은 기업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을 포함해 여러 지표가 참고 지표입니다. 말그대로 참고지표라서 PBR이 같은 수준이더라도 기업마다 주가는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나 과대평가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지만, 단독으로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기엔 부족합니다. 주식의 상승 여부는 PBR 외에도 기업의 성장 가능성, 실적, 시장의 상황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PBR이 낮아도 성장성이 강한 기업은 상승할 수 있고, PBR이 높아도 실적이 부진한 기업은 상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선택시 PBR은 참고 지표가 아닌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PBR 역시 주식 선택시 참조해야 할 지표이고
이를 통해서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