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는 왜 대부분 상단에 공모가가 정해지나요?
최근 청약을 진행한 기업들이 대부분 밴드 상단에 공모가가 결정되었는데요. 조금 낮게 해줄수도 있는데 왜 제일 비싼 가격으로 정할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가를 밴드 상단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기업이 자금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려는 목적과, 높은 수요를 반영하여 안정적인 상장 후 주가 상승을 유도하려는 전략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높은 공모가는 기업의 시장 평가를 강화하고, 투자자들에게도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뢰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상단에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들도 높은 가격을 써내야 주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기업이 괜찮다 싶으면 대부분은 일단 상단이나 상단 이상으로 써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가 상단, 즉 가격이 높은 상태에서 공모가가 산정되어야 기존 보유자들이 시세차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의 수익 보장을 위해서 공모가 밴드 상단에서 결정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가는 수요를 최대화 하려는 전략입니다. 높은 가격을 책정하여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자 합니다. 또한 상단 가격으로 설정하면 기업은 자금을 최대한 확보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를 밴드 상단에 결정하는 이유는
투자자들의 수요를 최대화 하고, 상장한 후 첫날 거래를 안정적으로 진행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또는, 높은 공모가로 기업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기 위함도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공모시장이 과열되거나 시장에 주목하는 섹터일경우 공모가가 상단에 결정되는것이지 작년 공모주 하반기만 보더라도 하단가이하나 그리고 입찰률이 낮아서 공모철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따상분위기로 공모주 분위기 과열될경우 상단이상에 경쟁률로 공모가를 높여서 상장시 과열될경우 공모가가 높을수록 상승가치가 높기 때문에 묻지마 경쟁률로 상단으로 밸류에이션 이상으로 입찰되는경우가 많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에 대한 기대감이 크기 때문에 밴드의 상당에 위치합니다. 만약 기대감이 크지 않은 종목은 상단에 위치하지 않고, 공모주 연기를 신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대부분이 그렇지는 않습니다. 공모주에 따라 적정 밴드에 머무는 것도 많고 오히려 하단으로 책정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공모가 상단에 결정됐다는 것은 그만큼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는 왜 대부분 상단에 공모가가 정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모주는 애초에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되기에
가능한 높은 가격에 매도하고 싶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