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4.17

무오사화의 발단이된 조의제문은 무엇인가요?

성종 시절 훈구파와 사림파가 싸운 무오사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 원인이 되었던 사림파의 조의제문은 어떤 내용인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로 영남학파의 종조인 김종직이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풍자해 지은 글 입니다.

    중국 초나라의 항우가 의제를 죽여 폐위시킨 사건에 대해 의제의 죽음을 조위하여 쓴 글로,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단종을 의제에 비유함으로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난하고 세조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예종, 성종, 연산군 등은 왕권의 정통성을 인정할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고, 세조의 왕위 찬탈에 참가한 훈구 대신들 역시 비난의 대상으로 삼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직이 1457년(세조 3) 10월 밀양에서 경산(京山 : 星州)으로 가다가 답계역(踏溪驛)에서 숙박했는데, 그날 밤 꿈에 신인(神人)이 칠장복(七章服)을 입고 나타나 전한 말을 듣고 슬퍼하며 지은 내용입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의]

    무오사화의 발단이 된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글로, 항우의 손에 죽은 초나라 회왕(懷王)을 조문하는 내용.

    [내용]

    이 글은 세조(世祖, 재위 1455~1468) 대 김종직이 경산으로 향하던 길에 답계역이란 곳에서 자다가 꿈에서 초나라 회왕, 즉 의제(義帝)를 만난 것을 계기로 지었다고 한다. 초나라 회왕은 항우(項羽)의 손에 살해되었는데, 항우는 초나라 출신으로 회왕과는 본래 군신(君臣) 관계였다. 김종직은 작품에서 중국 사람인 회왕이 조선 사람인 본인의 꿈에 나타난 것이 매우 신기한 일이라 하면서, 회왕을 위로하는 내용의 글을 지었다.

    그런데 이 작품을 김종직의 문인인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이 사초에 적어 넣은 것이 화근이 되었다.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이 즉위하고 나서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편찬 책임자인 이극돈(李克墩, 1435~1503)이 이 작품을 ‘김종직이 단종(短宗, 재위 1452~1455)을 회왕에 비유한 것이다’라고 문제 삼은 것이다. 당시 김일손의 사초에는 이극돈의 비리를 적은 것이 많아, 이극돈이 김일손에 대해 앙심을 품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비리를 감추기 위하여 이 작품을 문제 삼았으며, 3사의 관원에게 자주 탄핵을 당하던 유자광에게 알려 연산군에게 보고되게 하였다.

    이극돈의 고변으로 시작된 이 ‘조의제문’ 사건은 이후 무오사화(1498)의 발단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김일손을 비롯한 많은 김종직의 문인들이 연루되어 죽거나 파직되었다. 당시 김종직은 이미 사망한 이후였는데, 대역죄의 명목으로 관을 부수어 시신을 베는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