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데굴데굴
데굴데굴

학생 주도의 수업이 오히려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데 사실인가요?

책을 읽다보니 학생 주도의 수업이 오히려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 내용을 접했는데요. 즉, 교사가 개입을 적게 하고 학생들이 토론을 더 많이 하는 것이 오히려 학습 효과를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이 주장이 옳은 주장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리드하는 수업이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학습효과의 목표를 어떤 것에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학습효과가 성적, 점수라고 한다면(보통의 학교에서 보는 시험같은) 이때 효과는 떨어질 것입니다.

    -> 암기해서 익힌 문제를 푸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니까요.

    다만, 저는 반대의견입니다. 우리나라 교육은 위의 성적을 학습효과로 보는 경우가 많아 암기를 시키고 학원에서 인강을 모두 획일적으로 보게하고,, 그렇게 출제한 문제를 잘 맞으면 점수가 높게 나오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성장한 우리 아이들은 창의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무방비 상태가 됩니다.

    - 책을 많이 읽어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정립하고

    - 친구들과 토론을 통해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고 자신의 논리를 만들고... 하는 식의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 아이들이 졸업하고 사회에 나아가면 주어진 정답이 있는 삶은 많지 않습니다. 그날 그날 발생하는 문제들을 동료와 함께 또는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삶이 보통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교육이 학습효과라고 해야 할까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교사 주도를 수업을 하게 되면, 몇 명의 아이들만 수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아무래도 학생 주도의 수업을 하게 된다면, 배움에 수동적이던 아이들이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수업 분위기도 좋아지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도 높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학생주도 수업에서 경험이나 사전지식의 여부, 교사의 적절한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성향에 따라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학습효과는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