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정중한호랑이293
정중한호랑이29324.01.19

도금(표면처리)시 금(gold)소요량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금속에 도금(표면처리)시 금(au)소요량은 얼마인가요? 그리고 금도금시 금도금(au)계산식은 무엇인지요 어떻게 되나요?

금도금 두게는 1미크론

금비중 19.3

표면적 가로1cm세로1cm 일때 금(au)은 몇 g의 무게인가요. 두서없는 질문을 양해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금도금시 금소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금소요량 = 표면적 * 두께 * 비중

    위의 식에서

    표면적은 금도금을 할 금속의

    표면적입니다.

    단위는 cm^2입니다.

    두께는 금도금의 두께입니다.

    단위는 미크론(μm)입니다.

    비중은 금의 비중입니다. 단위는 g/cm^3입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조건에서 금소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금소요량 = 1cm^2 * 1μm * 19.3g/cm^3

    금소요량 = 0.0193g

    즉 가로 1cm 세로 1cm의 금속을 1미크론 두께로

    금도금하려면 약 0.0193g의 금이 필요합니다.

    위의 계산은 금도금이 완벽하게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합니다.

    실제로는 금도금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소요량은 약간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금도금 두께는 0.025~0.5μm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두께가 얇을수록 금소요량은 줄어들지만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금도금은 금속 표면에 금을 코팅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는 과정입니다. 금도금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의 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금의 소요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금도금 두께는 1미크론으로 설정되며 금의 비중은 19.3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적이 가로 1cm 세로 1cm인 경우 금도금에 필요한 금의 무게는 약 0.0193g이 됩니다. 이는 약 0.0000193kg에 해당합니다.

    금도금 과정에서는 금의 소요량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합니다. 금의 소요량 = 금도금 두께 x 금의 비중 x 표면적. 따라서 위의 예시에서는 1미크론 x 19.3 x 1cm² = 0.0193g의 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금도금 계산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도금 층의 부피 = 도금 대상의 표면적 x 도금 층의 두께

    금(au)의 무게 = 도금 층의 부피 x 금(au)의 비중

    도금 층의 부피 = 1cm x 1cm x 1μm = 1cm³ x 1μm = 1μL

    금(au)의 무게 = 1μL x 19.3 g/cm³ = 19.3μ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