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은 무엇인가요?

다른 현금이나 유형자산, 재고자산은 눈에 보이니까 믿을 수 있지만 무형자산은 실체가 없어서 믿기가 어려운데 어떨때 인식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무형자산은 식별가능하고 통제가능하며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을 때 인식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특허권, 소프트웨어, 브랜드, 개발비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회계기준상 신뢰성있게 측정가능해야하고 내부창출 브랜드는 대부분 인식 불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무형자산이 회계장부로 인식되려면 식별가능성과 통제가능성, 경제적 이익 발생 가능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제3자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 무형자산은 물리적 형태는 없지만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식별가능성, 통제가능성, 미래경제적 효익이라는 세가지 핵심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계상 인식됩니다. 식별가능성은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거나 이전이 가능한 점, 통제가능성은 기업이 해당 자산에 대한 포괄적인 사용/처분 권한을 가진것, 미래 경제적 효익은 해당 무형자산이 향후 수익창출이나 비용절감 등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는 점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무형자산은 장기적으로 독점적인 수익을 창출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비물리적 자산을 말합니다.

    특허나 저작권, 상표권, 소프트웨어, 고객명단, 브랜드 가치 등이 포함됩니다.

    무형자산의 인식은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야 하며 공정한 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가능해야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무형자산은 말씀하신 것처럼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인식 요건이 더욱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회계기준상에서는 무형자산도 기업의 자산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요건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습니다.

    K-IFRS 기준에 따르면, 물리적 실체는 없으나 식별 가능하며, 통제할 수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대되는 자원이라고 합니다. 즉, 눈에 보이지 않아도 기업이 그것을 지배하고 있고, 미래에 돈을 벌어다 줄 수 있다면 자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으로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