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1

조선시대에 세자책봉을 할 때 어떠한 기준으로 세자를 책봉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는 무엇보다도 왕 다음으로 중요한 인물이 세자였을 것인데요 조선시대에 세자책봉을 할 때 어떠한 기준으로 세자를 책봉하였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4.01.15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자는 왕의 적장자로서 왕위를 계승할 자격이 있어야 했습니다. 따라서 세자책봉을 위해서는 왕의 적장자라는 혈통적 조건이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는 왕의 정치적 고려가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왕이 후계자를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세자책봉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고, 왕이 건강이 좋지 않아 후계자를 미리 책봉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세자책봉을 할 때 여러 가지 기준을 고려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적장자(嫡長子)나 적장손(嫡長孫) 중에서 가장 적합한 후보를 선택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세자와 같은 경우에는 장자 등을

    후계로 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세자 책봉의 원칙은 적장자 세습이 원칙인 조선시대에 왕비 소생의 장자가 세자로 책봉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실제로 적장자로서 왕위에 오른 왕은 7명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에 불과했습니다. 오히려 적장자로서 세자로 책봉은 되었지만 왕위에 오르지 못한 왕세자가 7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