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11.04

세자시기에는 무엇을 공부했나요?

조선의 왕세자로 책봉이 되고나면 무엇을 주로 공부했나요? 세자로 책봉되고나면 반드시 신하들중에서 스승을 두도록 되어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먼저 원자(元子)가 태어나면 '보양청'이라는 보육기관이 설치되고, 다른 형제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보양청은 교육보다 보육에 중점을 둔 기관입니다. 원자가 5세 이후가 되면 '강학청'이라는 조기교육기관을 설치됩니다. 이때부터 조기교육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본격적인 왕위 계승 교육은 왕세자와 왕세손 책봉 이후부터 시작됩니다. 왕세자의 경우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이라는 전담 교육기관과 함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라는 배위기관도 설치됩니다. 왕세손도 유사한 기관이 설치됩니다.

    일상이 교육이고, 교육이 곧 일상입니다. 왕세자의 경우 법강(法講)이라 하여 조강(朝講), 주강(晝講), 석강(夕講) 등 세 번의 정규적인 경전 교육이 이어집니다. 수시로 소대(召對)를 통해 역사공부도 합니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야간 자율학습에 해당하는 야대(夜對)도 있었습니다. 모든 교육 과정과 평가를 실시하여 성적은 왕에게 보고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자로 책봉되면 부모 곁을 떠나 동쪽에 있는 동궁에서 기거하기 시작하며 나머지 왕자들은 궐 밖으로 나가 사가에서 지냅니다.

    세자에게는 독립된 기관, 인원, 예산이 배정되어 왕에 버금가는 예우를 받았고 세자의 호위는 세자익위사가 맡았고 세자의 교육은 세자시강원에서 담당했습니다.

    세자시강원에서는 경서와 사적을 강의 , 도의를 가르치는 임무를 담당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자의 전임 교육 담당을 맡던 기관이 시강원 이라고 합니다. 세자 시강원의 전임 강사는 정 3품 -7품 까지의 관료 들이 맡는데 약 5명 정도가 된다고 합니다. 총 15명 정도의 스승이 있다고 합니다. 세자교육 은 <소학>, <효경>, <논어>, <맹자>, <중용>, <대학>, <대학연의>, <상서>, <주역>, <예기>, <춘추좌전> <통감강목> 등으로 교재를 삼아서 많은 교육을 시켰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