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비뇨의학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헤르페스2형 잠복기와 무증상 전염에대하여

성별
남성
나이대
45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안녕하세요

와이프가 얼마전 헤르페스 1,2형 진단을 받았습니다

저는 작년4월달에 피검사를 했었고 당시 1,2형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아직 추가 검사를 하지않은 상태입니다

1. 연애,결혼 기간을 합치면 14년을 같이 지냈는데 14년전에 헤르페스에 감염되었고 현재 면역력이 약해져서 증상이 나온듯 한데 이렇게 오랫동안 잠복하는 경우도 있는건가요?

2. 지난 14년동안 별도 피임을 하지않고 지냈는데 제가 음성인것이라면 무증상일때는 전염력이 거의 없는건가요? 만에하나 와이프가 최근 헤르페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을까요?

3.어린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아이에게 전염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민혁 의사
    유민혁 의사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헤르페스는 평생 체내에 잠복해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재발할 수 있는데, 14년 동안 증상이 없었던 것은 드문 경우는 아니에요. 무증상기에는 전염력이 매우 낮지만 완전히 없는 건 아니에요. 아이에게는 활성기에 직접적인 접촉만 피하면 일상생활에서 전염될 가능성은 낮아요. 정확한 감염 시기는 알기 어렵지만, 본인도 검사를 한번 더 받아보시는 게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헤르페스 2형 바이러스의 잠복과 전염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인체에 감염되면 신경절에 잠복하고, 면역력이 저하되거나 다른 요인이 발생할 경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몇 년 동안 잠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개인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무증상 감염자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접촉 빈도와 바이러스 양에 따라 전염 가능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과거에 음성 진단을 받으셨다면, 와이프분이 최근에 감염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다양한 경로와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현재 상태를 다시 검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아이와의 일상생활에서 일반적인 접촉으로 전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헤르페스 병변이 있는 부위를 직접 접촉하거나 체액 교환이 있는 경우에는 전염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