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우리나라 기업들은 왜 주가상승에 큰 관심이 없을까요?

다른 국가들 특히 미국은 주주들을 위해서 자사주매입을 엄청 열심히하고 주가부양을 위해서 엄청 노력을 하잖아요. 근데 왜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가상승에 큰 관심이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지배구조 등의 문제도 있고

    더불어서 주가가 너무 오른다면

    향후 상속 등에 문제가 되기에 이에 따라서

    주가상승에 큰 관심이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은 가족경영중심의 세습경영이

    많습니다. 주주들의 수익이나 배당보다는 경영권자체에 더 관심이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기술력 높은, 자금력 낮은 기업의 경우

    주식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게지만,

    아직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기술력 높은 기업이

    많이 상장되지 않는 영향도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법규 및 제도 자체가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소위 '총수'가 짤리지 않고, 주가가 올라봐야 세제적으로 상속세만 더 많이 내야하기 때문에 주가상승에 큰 관심이 없는 것을 넘어 오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들도 주가 상승에 관심이 적지는않아요.

    그래도 미국등 기업에 비해서 노력이 부족한 이유는 장기적인 성장 위주로 가고, 대주주 영향력이 크고 소액주주 비중이 낮아서 그럴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CEO들이 대부분 선출되어 회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가 부양하는것이 하나의 미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한국은 완전 반대입니다. 한국은 오너 경영체제 입니다. 즉, 주가가 오르면 불편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나중에 상속세도 더 많이 내고, 오너 입장에서는 주가가 오르면 좋은 점이 별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배당보다는 재투자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주가 상승보다는 기업의 내재 가치를 중시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꼭 상승하지 않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이익을 내부화할 방법이많아서라고 생각합니다.

    낮은 배당성향, 소극적인 주주환원등을 보면 주주보다는 내부수익에 더 집중하는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궁금합니다. ㅎㅎ

    우리나라의 기업이 주식의 가치를 올릴려는 노력이 왜 없겠습니까. 다만 그 방법과 과정이 선진국들처럼 주주환원을 통한 주주의 권익을 최대한 보장 하는 것이 아니라 무분별하게 자회사를 만들어 이를 위해 수익을 사용하는 등 내부적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는것이죠.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이나 주가 상승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기업 문화: 한국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성장과 재투자에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

    이로 인해 이익이 발생하더라도 주주에게 배당금이나 자사주 매입보다는 기업 성장에 재투자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주 구조: 한국의 주주 구조는 대기업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특정 대주주의 영향 아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경영진이 주가를 올리는 것보다 기업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더 중점을 두도록 할 수 있습니다.

    시장 환경: 한국의 주식 시장은 미국에 비해 덜 성숙하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기업들이 주가 안정성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주가 상승에 큰 관심을 덜 두는 이유는 경영 문화와 지배 구조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한국 기업은 오너 중심의 경영 방식을 유지하며 주주보다는 회사 성장이나 장기적인 전략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 정책이 미국 기업들처럼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주가 부양에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주 가치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며 점차 자사주 매입과 주주 환원 정책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주가 상승에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한국의 기업 문화와 소유 구조가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여전히 창업주 가문이나 특정 대주주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 있어, 외부 주주들의 이익보다는 내부 경영진의 이해관계가 우선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은 단기적인 주가 상승보다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성에 더 큰 가치를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급격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 기업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투자와 확장을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상승에 관심이 없다고는 애매한 게 대기업인 삼성전자 임원들만 봐도 자사주매입을 통해 주가를 끌어올리려고 합니다. 하지만 말씀해주신대로 대부분의 상장된 중소기업은 자금이 부족해 자사주 매입을 할 여력이 없어서 주가상승 시키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을 재투자나 주주환원에 사용하면 주가상승이될텐데, 임원들이 챙기는 경우가 많은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