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도롱이
도롱이

달러나 엔화 할 것 없이 계속 오르는 이유?

원화의 가치가 줄어들었다고 친구가 설명해주던데, 자세히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달러나 엔화나 뭐 할 것 없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달러나 엔화 할 것 없이 계속 오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결국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가 절하되는 것으로

    내수 경제 불황, 무역 문제, 국내 정치 문제 등으로 인해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이유는 여러 경제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가장 큰 원인은 미국 달러의 강세입니다.

    현재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면서 금리 차이가 벌어지고, 이는 원화 약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초과 공급된 달러에 비해 원화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환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달러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배경에는 미국의 경제 성장, 금리 인상, 그리고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른 통화들도 함께 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외환 시장에서 원화의 가치가 줄어드는 현상은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가치 하락과 달러엔화 강세는 국제 금리 차이와 경기 전망 차이에서 주요 원인이 발생합니다. 미국의 높은 기준금리 유지와 일본의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면서 외국 자본이 고수익을 추구해 달러 자산으로 유입되고, 엔화는 글로벌 위기 시 안전 자산 수요 증가로 상승 압력을 받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기 회복세와 일본의 통화정책 기조가 원화 대비 상대적 강세를 부추기며 환율 격차를 확대합니다.

    국내 요인으로는 무역수지 적자와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수출 감소와 에너지 수입 증가로 달러 수요가 공급을 압도하며, 미국과의 금리 역전 현상이 외국인 투자 유출을 가속화합니다. 엔화의 경우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일본 중앙은행의 완화정책 지속이 원화 대비 가치 상승을 유도하는 이중적 구조가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전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오르고, 그 여파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면서 달러와 엔화 가치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엔화는 최근에 오른것이며 상대적으로 원화는 작년12월이후 유난히 약세요인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선 10년물 시장금리 추세가 현재 환율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고 이는 자본수지에 영향을 줍니다

    그런데 최근 한국은 이 시장금리가 하락했고 미국은 지속 상승하면서 금리차이가 1.5프로이상 확대되며 달러환율이 지속 오른게 큽니다

    거기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로 외국자본이탈로 달러강세요인 원화약세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국내 경제성장률이 지속감소하고 잠재성장률 감소도 영향이 큽니다

    즉 10년물 시장금리하락과 실물경제요인이 지속 하락하고 잠재성장률도 감소하면서 원화약세가 구조적으로 진행됬고 최근 이년간 미국과 외국으로 자본투자가 몇십조로 증가한것도 달러강세 원화약세로 작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원화의 약세 요인은 수출 부진이나 수입 증가 등으로 경상주시가 악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외화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져 원화 가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 증시 부진이나 경제 전망 불확실성 등으로 외국인 투자 자금이 한국 시장에서 빠져나가 달러화로 환전될 경우 원화 약세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는 한국 경제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아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수준이 한국보다 높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어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엔화, 유로화의 상승은 트럼프 관세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불안정해진 글로벌 공급망과 국제 정세는 안전자산으로 평가되는 기축통화들의 상승을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기축통화들의 가치는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