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회는 왜 천주교를 박해하였나요?
몽골은 정복한 국가의 종교도 자유로이 허락해 주었는데 왜 굳이 조선사회는 포용력없이 천주교인을 박해하고 죽이기까지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는 수용 직후부터 정부의 탄압의 대상이 되어 근 1백년 동안 10여 회에 걸쳐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다. 즉, 1785년(정조 9) 봄 당시 명례방에 있던 김범우의 집에서 초기 신자들이 형조에 적발되는 이른바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 벌어졌는데, 양반의 자제들이 연루되었기 때문에 중인이었던 김범우만 유배형을 받고 사건 자체는 일단락되었다.
김범우는 유배지로 가는 도중 숨짐으로써 한국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1791년에는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불리는 신해박해로 윤지충(尹持忠)·권상연(權尙然)이 처형을 당하였는데, 모친상을 당하고서도 제사를 폐지하고 신주를 불살랐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를 계기로 해서 홍낙안(洪樂安)·이기경(李基慶) 등 공서파(攻西派)의 남인 신서파(信西派)에 대한 공격은 더욱 심해져 이승훈·권일신·최필공(崔必恭) 등 10여 인이 체포되어 신문을 받았으나 사형으로까지 확대되지는 않았다.
1795년의 을묘박해는 주문모의 체포령에서 발단되었는데, 주문모는 피신하고 그 대신 최인길·윤유일·지황 등 3인이 포청에서 사형을 당하였으며, 이가환(李家煥)·정약용·이승훈 등이 좌천되거나 유배되었다. 이로써 서울에서의 천주교에 대한 탄압은 일단락되었으나, 지방에서의 박해는 계속되어 특히 호서지방과 경기도의 양근·여주지방에서 박해가 심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 예법에 어긋난 학문으로 천주교에서 부모도 임금도 인정하지 않고 오직 천주님을 최고로 모시고, 조상에 대한 제사도 지내지 않았으며 집권 세력인 노론학파가 반대 세력인 남인들을 견제하기 위함으로 남인들이 천주교에 많이 관련되어 있어 천주교들을 벌하면 노론의 세력을 강하게 유지할수있었기 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성리학의 나라입니다. 이 체제를 강력하게 위협하는 것이 바로 천주교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천주교는 신분질서에 위협적으로 당시 지배층인 양반에게 불편한 사상으로 보였습니다. 하느님 아래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것은 체제와 신분질서를 파괴하는 위험한 것이라 보아 여러 차례 박해와 탄압이 가해진 것입니다. 더불어 남인 등이 천주교 수용에 적극적이었는데 이런 남인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활용한 측면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처음 포교활동을 하면서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을 우상숭배라 하여 금지하였기때문에 지배층인 유학자들이 등을 돌렸고 1866년 천주교를 박해했던 병인사옥이 일으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는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거부하고 인간 평등 사상이 있었습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면, 신분제를 바탕으로 선 조선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라에서는 대대적으로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신자들이 목숨을 잃거나, 감옥에 갇혔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러 차례에 걸친 박해의 원인은 무엇보다도 먼저 정부가 천주교를 무부무군(無父無君)의 사교로 낙인을 찍고, 천주교도들을 강상죄(綱常罪)로 다스렸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 유교의 배타주의는 유교를 따르지 않는 자는 이단시했고, 조선왕조는 정교합일주의(政敎合一主義)에 입각해서 정치적 질서와 종교적 질서가 혼동됨으로써 잦은 박해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정치와 종교의 혼동은 당쟁과 세도정치에도 파급되어 반대세력에 대한 탄압에 종교를 구실로 삼는 일이 자주 일어났으며, 더구나 천주교도들의 성직자 영입운동과 종교자유를 획득하고자 한 운동은 쇄국양이주의(鎖國壤夷主義)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어 역적으로 가차없이 처단되는 결과를 낳게 하였습니다.
이렇게 여러 번의 박해를 계속 받음으로 해서 처음 교회를 주도했던 양반계급과 지식층이 물러나고, 점차 무식하고 가난한 서민층이 교회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당시 입국한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들은 매우 엄격하고 보수적인 신앙관을 바탕으로 영적 구원에만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처음 사회를 개혁해보려던 강한 의욕은 사라지고 현세도피적이고 내세구원적인 신앙으로 변천되어갔습니다.
또한, 도시에 집중되었던 교인들은 박해를 피하여 산간벽지로 피신하여 많은 교우촌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철종조로 접어들면서 천주교는 비교적 평온을 누려 크게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세도정치의 주인공인 안동 김씨는 시파(時派)로, 천주교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이었으므로 천주교를 묵인하는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이러한 소강상태를 이용하여 많은 선교사들이 입국하였을 뿐 아니라 또한 많은 교회서적을 인쇄하여 보급함으로써, 신자들의 신앙을 심화시키는 한편 복음을 더욱 널리 전파시켜 나갔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의 경우 유교의 사상과 많이 통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천주교 안에서 하느님 앞에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평등사상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었고, 부녀자들과 백성들에게 널리 퍼져나갔습니다.
특히 천주교에서는 조상의 제사를 지내지 못하도록 했는데 이는, 유교를 숭배했던 조선시대에 왕과 양반의 계급을 부정하는 평등사상과 제사를 금지하는 천주교는 박해의 대상이 되었고,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