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03

아이 겨울철 방온도 어느정도?

2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방온도를 어느정도로 하는게 좋은가요?? 보통 26~27도 사이로 유지하고 있는데 주변사람들이 높다고 하길래 어느정도가 적절한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실내 온도는 22-26도 사이가 적당합니다. 다만 집에서 어느정도 옷을

    입고 생활하는 것이 체온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습도는 40-50%를 유지하는 것이 건조한 겨울철 피부건강에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겨울철 방 온도가 궁금하군요. 아이가 있는 집은 실내온도 20도~24도, 습도 50~60%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아이의 면역력을 위해 실외온도와 차이가 많이 나면 몸이 적응하기가 힘이 들것입니다. 참고로 성인은 18~21도가 적정온도라고 합니다.


  • 사계절 우리 아기들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자라나려면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정말 중요한데요. 물론 살고계신 집마다 약간씩 차이는 존재할 수 있습니다. 실내 온도는 겨울에 23~25도로 맞춰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나 난방기를 가동하실때는 너무 건조하지 않게 가습기도 함께 가동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6도~27도를 유지하는 상황이면 조금 높게 맞춰놓긴 하셨네요... 보통 방안의 온도의 경우 21~24도 사이를 유지해주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겨울철이라 실내 보온도 신경써야하고 아이의 건강도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옛말에 겨울아이들이 건강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는 춥게 키워야 한다고도 합니다.

    겨울 적정 온도는 18도~20도 입니다. 다만, 온도는 실내복과 내복을 잘 갖춰 입었을 때 권장하는 실내 온도입니다. 평소 집에서 옷을 가볍게 입고 있다면, 춥다고 느껴질 수밖에 없는 온도이다.

    현재 25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시면 방안이 건조해져서 오히려 건강에 해롭습니다. 내복이나 겉옷을 입혀주시고 23도가 넘지 않도록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복을 입는 것과 입지 않은 것은 체감온도, 약 5도 정도 차이가 납니다. 꼭꼭 내복 잘 갖춰 입혀주시기 바랍니다.

    이 온도가 춥다고 느껴지면 방안에 들어오는 찬공기를 잡아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외풍을 최대한 막는 것입니다.

    열 손실이 많은 창문과 현관에 방한커튼을 달아 열 손실을 줄이고, 외부의 찬공기를 차단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방바닦에 러그 또는 도톰한 이불을 깔아두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때 주의할 것은 외부 찬공기를 차단하면서도 하루중 2~3차례 환기를 시키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기는 10분 이상 창문을 활짝 열어두고 안과 밖의 공기 흐름이 가능하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실내 온도는 20도~25도 사이가 적절할 것 같습니다.

    어른들이 집에 있을 때 얇은 옷을 입고도 춥거나 더운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의 온도면 될 것 같아요

    너무 따뜻한 온도는 아기에게 해가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방 안 온도와 같은 경우에는 21도에서

    24도를 유지하여 주시는 것이 좋으며 26도에서 27도라면

    다소 더울 것이므로 조금 더 줄여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0-23도가 적절할듯 싶습니다. 20-23도는 '추운' 온도는 아닙니다. 코점막이나 섬모의 활동을 방해할 정도도 아니구요. 온도를 높이면 높일 수록 호흡기계의 분비물 즉, 콧물과 가래는 더 늘어나게 됩니다. 메마른 점막을 보호해야 하니까요.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실내 온도를 낮춰주세요. '감기'에서 빨리 낫게 하려면 실내 온도를 낮춰주세요. 창문을 열고 자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온도를 낮추는 것은 상대습도를 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만, 찬바람이 들고 나는 것은 오히려 습도를 낮춥니다. 난방 대신에 옷을 껴입으라는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