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6.12

반딧불이 내는 불빛은 어느 정도 인가요?

예전에 시골에서 반딧불을 본 적이 있는데 반딧불이 정말 밝더라고요. 이런 반딧불이 불빛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고 책을 읽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반딧불이 필요한지도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구애는 성충이 된 후 2~3일 후부터 시작된다. 빛은 배에 있는 발광세포의 ‘루시페린(Luciferin)’이 산화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반딧불은 대개 500~600um(마이크로미터)의 황색 또는 황록색의 파장을 갖지만 빛의 세기와 간격은 종에 따라 다르고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반딧불의 밝기는 보통 한 마리가 3룩스로 이론상 80마리를 모으면 쪽 당 20자가 인쇄된 천자문을 읽을 수 있고, 200마리를 모으면 신문을 읽을 수 있는 밝기가 된다.

    하지만 반딧불은 동시에 반짝이지 않기 때문에 여러 마리를 잡아도 고사성어에 나오는 이야기처럼 책을 읽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밝기는 약 3 Lux 정도로 측정됩니다.

    일반적인 실내 생활을 위해서는 약 70~100배 정도의 밝기가 필요하니 이 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 한 마리의 밝기는 약 3룩스 정도 되며, 일반 사무실의 밝기는 평균 5백룩스 정도 된다고 합니다

    책을 읽으려면 200마리는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반딧불은 짝짓시를 위한 수단으로 암컷이 빛을 내 위치를 알리면 수컷은 날아가 빛을 밝히며 구애하는 것입니다. 반딧불의 빛은 배 쪽에 있는 발광세포인 루시페린이 산화하는 과정에서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반딧불의 밝기는 보통 한 마리가 3룩스 정도 되며, 달의 밝기가 0.3룩스인것에 비하면 상당히 밝은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 내는 불빛의 밝기는 매우 약합니다. 일반적으로 0.1~0.2 룩스 정도의 밝기를 가지며, 인간의 눈으로는 밤하늘에서 가까이 보아야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딧불이 내는 불빛은 인간의 눈에 매우 빛나고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문학작품에서도 자주 언급되고 그림에도 그려지는 등 인기 있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또한, 반딧불이 내는 불빛은 UV 선을 발산하지 않으며,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안전한 자외선 없이도 아름다운 불빛을 발산하는 자연의 경이로움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반딧불의 빛은 광원으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입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구의 밝기는 몇 백 루멘(lumen)에서 수천 루멘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상당히 강력한 조명입니다. 그러나 반딧불의 빛은 그 크기와 생물적 특성을 감안할 때, 약 수 루멘 이하의 밝기로 추정됩니다. 이는 흔히 책을 읽거나 작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은 수준입니다.

    반딧불의 빛은 주로 생태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가느다란 새로운 곳에서 다른 개체의 주의를 끌거나 교감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거나 작업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인공 조명이나 전구와 같은 밝은 광원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고사성어가 있다. 중국 진(晋)나라 효무제 때 사람인 차윤(車胤)은 가난해서 등불을 켤 기름을 살 수가 없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었고, 손강(孫康)은 한겨울 눈에 반사되는 달빛으로 공부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반딧불이 불로 책을 읽는 것이 가능할까. 반딧불이 한 마리가 내는 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한다. 일반적인 사무실의 밝기가 500㏓고, 옛날 책들은 지금보다 글씨가 훨씬 크기 때문에 150마리 정도면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한마리가 3룩스 정도로 80마리면 작은 종이에 적인 글자를 읽을수 있고 200마리 이상 모으면 신문을 읽을수 있을정도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 내는 불빛의 밝기는 비교적 약합니다. 일반적으로 반딧불이 발산하는 광원의 밝기는 약 0.1~0.2 칸델라(K) 정도입니다. 칸델라는 광도의 단위로, 1 칸델라는 정육면체 1m³의 1/683 빛을 내는 평평한 광원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 내는 빛의 세기는 매우 약합니다. 일반적으로, 반딧불이 내뿜는 빛의 세기는 0.2 밀리와트 이하입니다. 이는 인간 눈으로 볼 때 거의 볼 수 없을 정도로 약한 빛입니다.


    하지만 반딧불이 내뿜는 빛은 초당 몇 번씩 깜빡이며, 이러한 깜빡임이 매우 빠르게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깜박이는 빛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이러한 반짝임은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광경을 만들어 냅니다.


    반딧불의 빛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책을 읽을 정도로 충분히 밝아지기 위해서는 많은 반딧불이 모여야 합니다.


    반딧불이 모여서 만들어내는 빛의 세기는 다양하지만, 대략 수백 마디에서 수천 마리 이상의 반딧불이 모여야 책을 읽을 정도로 충분한 밝기가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러한 많은 양의 반딧불을 모으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책을 읽을 목적으로 반딧불을 모으는 것은 현실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반딧불이 엉덩이에서 발광을 하는 이유는 여름철 짝짓기를 위한 본능적인 것에서 출발했다고 하는데요

    과학적으로 들여다 보면...

    반딧불이의 몸 안에는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물질은 반딧불이 배에 특수한 발광 세포인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에 의해 생성되는데요...루시페린이 활성화되면

    루시페라아제가 분비되고, 분비된 이 물질이 산소화 결합하여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만들게 되는데..이 물질이

    빛을 내는 빛 에너지 물질이 되는 것이랍니다. ㅎㅎ

    하지만..

    이 반딧불이는 개체도 작고 불빛도 약해 한두마리로는 어림도 없고...예전에 누가 실험적으로 책을 읽기 위해 실험을 해 본적이 있다고

    하던데..그때 어두운 방에서 책을 읽기 위해서는 반딧불이를 2천마리 정도를 모아야 글을 읽을수 있었다고 하네요.ㅎㅎ

    요즘은 반딧불이를 보기도 힘들지만 수천마리를 한번에 모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야겠죠?ㅎㅎ

    형설지공이라는 고사성어가 사실이었는지 궁금하네요...ㅎㅎ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