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옛날 부모들은 왜 자녀를 엄하게 키웠나요?

옛날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부모들은 자녀들을 매우 엄격하게 키웠어요.

하면 되는 행동과 안되는 행동 등을 구분하고요 학교에 다니거나 농사를 짓더라도 물건을 아껴서 사용하는 방법 등을 말이죠.

위험한 행동을 하거나 TV에 자극적인 장면을 보고 공부를 엉터리로 하면 회초리를 맞기도 했고요.

하지만 지금은 자녀들을 편하게 가르치는 부모들이 많더라고요.

왜 옛날 부모들은 자녀를 엄하게 키우고 세상을 나가더라도 정교하게 가르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과거에 아이를 엄하게 키운 이유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은 부모의 잘못이고, 부모가 잘 못 가르쳤기 때문 이라는 꼬리표가 따라 다녔기 때문 입니다.

    특히, 예의를 중시 했던 과거는 옳지 않은 행동은 유교적으로 비판을 받고, 집안의 수치라고 여겨질 만큼 예의에 대한 것을 매우 중요시 했습니다.

    현재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은 가정교육이 잘 못 되었기에 아이의 행동이 바람직하지 않다 라고 생각하지요,

    과거나 현재도 아이들의 좋은 행동은 자애로운 태도로 대하고, 조금 어긋날 때에는 엄격한 태도로 대하는 것은 똑같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조선시대의 유교적 가치관 때문 일 것 같습니다.

    이는 부모에 대한 효를 강조 하기 때문입니다.

    윗사람에 대한 예를 갖추고, 예의를 중시 했기 때문에 예절을 가르치기 위해서 엄하게 한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옛날은 인권에 대한 생각이 부족하였고 자식을 소유물로 생각하였습니다. 지금은 자녀의 인권의 중요성을 알고 동반자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옛날 부모님이 자녀들을 엄하게 키운이유는 자녀들을 통제해야 키우기 편하기때문입니다 다만 이럴 경우 아이들의 개성이 죽는 문제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옛날 부모들이 자녀를 엄하게 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사회적 환경과 가치관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에는 농업 사회가 주를 이루었고, 생존과 안정이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습니다. 자녀들이 효율적이고 성실하게 일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가족과 사회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자녀에게 규칙을 세우고 엄격한 훈육을 통해 책임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둘째, 교육의 접근성과 질이 낮았던 시대에서는 자녀들이 기본적인 도덕성과 사회적 규범을 잘 배워야만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부모들은 자녀가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엄격하게 가르쳤고, 이를 통해 자녀가 안전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셋째, 문화적 전통과 권위의 개념도 작용했습니다. 부모와 조부모의 권위가 강하게 인정받았던 시절, 부모는 자녀에게 명확한 행동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어길 경우에는 엄격한 처벌을 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는 자녀가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고 사회의 규범을 따르게 하려는 의도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조선 시대와 현대 사회는 시대가 다르기 때문에 비교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조선 시대는 자녀가 잘 못하면 회초리 라는 폭력을 가해서라도 주입식으로 교육 시키는 것이

    당대 분위기다 보니 그렇게 교육을 한 것이고요

    현대 사회에서는 회초리도 아동 학대로 처벌 받을 수 있죠 현대 사회에서는 본인의 의사를 더 중요 하게

    생각 합니다

    스스로 학습하고 공부하는 걸 중요 하게 생각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과거 세대에서는 아이들의 교육 방식이 대부분 엄격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적인 요인,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첫째로 과거에는 먹고 살기 위한 생존 경쟁이 치열했기 때문에, 자식들이 빨리 철이 들고 자립심을 키우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들은 아이들에게 엄격한 규칙을 강요하고, 예의와 도덕을 강조하며 강하게 키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둘째로는 전통적인 가치관과 유교 사상이 강한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가족 중심의 가부장제 사회였기 때문에,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고, 권위와 질서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아이들은 부모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예의와 도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배웠습니다.

    셋째로는 교육 인프라가 부족했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직접 자녀들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때 부모님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전해주기 위해 엄격한 교육 방식을 선택하기도 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전쟁이나 재난 등 위험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도 아이들이 강하고 책임감있게 자라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부모님들은 아이들에게 엄격한 교육을 실시하고, 올바른 습관과 인격을 형성하도록 노력했습니다. 현재는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적인 변화, 경제적인 풍요로움 등으로 인해 아이들의 교육 방식이 많이 부드러워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부모들은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엄격한 교육 방식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결국 각 가정마다 상황과 목표에 맞게 적절한 교육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