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어린에뮤19
어린에뮤19

샤크교는 어떤 종교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요즘 태어난김에 세계일주에서 나오는 샤크교는 어떠한 종교인가요?


힌두교가 많은 인도에서 샤크교가 교세가 큰거 같은데 어떠한 종교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타인지는 모르겠으나 샤크교를 검색하니 시크교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시크교는 힌두교의 신애 신앙과 이슬람교의 신비사상이 융합되어 탄생한 종교라고 합니다.

      15세기 후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인도의 펀자브 지방에서 발전하였습니다. 시크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로 '교육' 또는 '학습'이라는 뜻의 시스야에서 전례했다는 설과 '가르침'이라는 식사에서 유래했다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 안에 자리하고 있는 하나뿐인 신의 메시지, 모든 인류의 평등함과 하나됨 – 신의 창조물과 영원한 진리 –를 전파하기 위해 대륙과 대륙을 오간 구루 나낙에게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구루 나낙은, 신을 보려면 ‘마음 속의 눈,’ 혹은 사람의 ‘가슴’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5대 시크 구루인 구루 아르얀은 1708년에 구루 근본 성전으로 거듭날 성서에 다른 종교 성인들의 말씀을 집어넣었다고 합니다. 신자수는 2500만 명에 이르고, 주로 펀자브 지방에 있습니다. 전 인도의 총리 만모한 싱이 시크교도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세기 후반에 지금의 인도.파키스탄의 국경지대에 해당하는 편잡 지방에서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교리를 절충하여 일어난 종교 입니다.

      이슬람교의 여자 차별과 힌두교의 계급제도를 배제하는 종교이며 그래서 여자차별이 심한 인도에서 시크교 여자들은 남자랑 동등한 권리를 갖습니다.이슬람교와 힌두교 어느 쪽도 펀자브인들에게 신망을 주지 못한 것이 시크교 설립의 직접적인 동기였으며 힌두도 없고 무슬림도 없다. 이것은 힌두교와 이슬람교 양쪽을 다 부인 합니다.

      답변에 대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크교는 15세기 인도 펀자브 지방에서 주로 이슬람교와 힌두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창시된 종교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와 같은 다르마 계통의 종교로 구분됩니다.

      중세 인도의 악폐습을 개혁하려는 일종의 인도판 종교 개혁 움직임을 보이며 전파, 머리 위 둥그렇게 칭칭 두른 터번 파그리는 그들의 상징입니다.

      창시자는 구루 나나크 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크교(영어: Sikhism,펀자브어: ਸਿੱਖੀ)는 15세기 후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인도의 펀자브 지방에서 발전한 종교이다. 시크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로 '교육' 또는 '학습'이라는 뜻의 시스야(sisya)에서 전례했다는 설과 '가르침'이라는 식사(siksa)에서 유래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모든 사람 안에 자리하고 있는 하나뿐인 신의 메시지, 모든 인류의 평등함과 하나됨 – 신의 창조물과 영원한 진리 –를 전파하기 위해 대륙과 대륙을 오간 구루 나낙에게서부터 시작되었다. 구루 나낙은, 신을 보려면 ‘마음 속의 눈,’ 혹은 사람의 ‘가슴’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5대 시크 구루인 구루 아르얀은 1708년에 구루 근본 성전으로 거듭날 성서에 다른 종교 성인들의 말씀을 집어넣었다. 신자수는 2500만 명에 이르고, 주로 펀자브 지방에 있다. 전 인도의 총리 만모한 싱이 시크교도이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세기에 인도 서북 펀잡(고대문명 발상지인 인더스강 상류지역) 지방에서 태어난 나나크는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우상 숭배를 부정하고 유일신 하리에의 열렬한 신앙을 설교하였다. 그가 죽은 후 나나크를 스승으로 삼는 시크(제자의 뜻)교가 형성되었다. 시크(Sikh)란 '제자', '사도'란 뜻의 고대 인도어다.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결합한 종교색을 띠고 있다. 최종목표는 힌두교와 마찬가지로 윤회에서 해탈하여 신과 합일하는 것이지만, 힌두교적인 의례와 수행은 중요시하지 않는다. 이슬람의 유일신앙을 받아들여 '신 앞에서의 평등'이란 이름으로 힌두교의 근본이 되는 카스트제도를 부정하고, 몸으로 실천하고 체험해야 한다는 것을 교리적 특징으로 한다. 성실한 노동과 금욕적인 생활을 강조한다.


      17세기 무렵 최고지도자인 구루(스승)가 이슬람에 저항하다 순교한 사건이 이어지면서 교단은 전투 집단화되었다. 특별한 의식을 거친 시크교도들은 칼사(순수의 군대)에 소속되는데, 이들은 케슈(머리카락ㆍ수염)ㆍ캉가(빗)ㆍ카추(짧은 바지)ㆍ카라(팔찌)ㆍ크리판(단도)을 항상 갖추고, 이름의 맨 끝에는 '싱(사자라는 뜻)'을 붙여야 한다. 본래 시크교에서는 신이란 형체가 없는 존재라고 믿었기에 우상이나 신의 형상을 숭배하는 일은 없으나, 제5대 구루인 아르준(1581~1606)이 편찬한 <구루 그란트 사히브 - 스승의 책>이라는 경전을 신성시 여기고 있다.


      전 세계에 걸쳐 2000만 명의 신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 중에서는 힌두교 81.5%, 회교 11.2%, 시크교 2.4%, 기독교 2.7%, 불교 0.7%, 자이나교 1% 등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크교는 15세기 인도 펀자브 지방에서 이슬람교와 힌두교의 영향으로 창시된 종교이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와 같은 다르마 계통의 종교로 구분된다. 중세 인도의 악폐습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널리 전파되었다. 시크교도 특유의 머리 위 둥그렇게 칭칭 두른 터번 파그리(pagri)는 그들의 상징이다. 신자는 약 3천만 명, 성도는 암리차르로, 시크교의 총본산인 암리차르 황금사원이 위치한다.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무슬림이 터번을 많이 하는 줄 아는데, 이슬람권에서는 시아파의 일부만이 의무적으로 터번을 착용한다. 실제로 무슬림들이 가장 많이 착용하는 모자는 타키야(طاقية, taqiyah)라고 부르는 하얀 니트 모자로 무슬림은 아니지만 셰프 정창욱이 착용하는 게 바로 그것.[6]


      이슬람의 영향도 받았기에 겉으로 보이는 복장이나 외모 내지는 사원 건축 양식[7]을 보면 이슬람교와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인도 계통의 종교이기 때문에 각종 단어들이 산스크리트어로 된 것들이 많으며 개념적으로도 불교나 힌두교처럼 다르마나 윤회사상 같은 것들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