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8월 PCE 물가가 전년대비 2.2%상승해서 예상치 하회라고 하는데요. 그럼 좋은건가요?
방금 미 8월 PCE 물가가 전년대비 2.2%상승해서 예상치 하회라고 하는데요. 그럼 좋은건가요?
좀 감이 잘안와요 예상치 상회, 하회라고 발표하면 뭐가 좋은건지..여기서 좋다는것은 경제나 증시상황에 좋다는 말이에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8월의 PCE 물가가 전년대비 2.2 퍼센트 상승했지만 예상치보단 하회라고 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전보다 낮아졌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시에 경기 침체가 어느 정도 진행된다는 것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당연히 좋은 것 입니다.
금리 인하로 가장 걱정 하는 것이 바로 경기침체와 시장에 풀린 유동성으로 인한 물가 재상승 입니다.
PCE물가는 CPI보다 더 실물 경제의 물가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예상 치보다 하회 했다는 것은 그만큼 물가가 안정적으로 잡혀가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에 금리 인하에 대한 정당성이 부여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PCE(개인소비지출) 물가가 예상치를 하회했다는 것은 그만큼 미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증시는 이를 호재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8월 PCE(개인소비지출) 물가가 전년 대비 2.2% 상승하여 예상치를 하회한 것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완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경제와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낮아진다는 것은 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구매력 유지에 도움이 되며, 기업들의 비용 부담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 Fed가 금리 인상을 중단하거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상황은 주식 시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낮은 인플레이션과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기업들의 실적 개선과 주가 상승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단일 경제 지표만으로 전체 경제 상황을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다른 경제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 상황,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들도 함께 고려해야 전체적인 경제와 증시 전망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번주 연준의 FOMC회의에서 통화정책을 실시하고나서 0.5%의 빅컷을 인하를 했던 배경중 물가부문에서 앞으로 안정화가 되었고 앞으로도 2%초중반으로 내려올것으로 파월이 언급을 하였습니다.
즉 만약 연준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물가지수인 PCE가 2%후반대나 기대치보다 높게 나왔다면 이는 11월 12월 예고했던 두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에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됩니다.
이런 불확실성은 주가에 큰 악재로 볼 수 있고 다시금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에 향후 실물경제에서도 소비둔화 우려 또한 높아진 물가로 시장금리의 상승으로 다시금 장기금리인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상업용부동산이나 관련 섹터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회되면서 물가가 안정화되는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PCE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로 전년대비 2.2%
상승했다는 건 전년 대비 물가가 상승 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상치 보다 하회하여 물가상승률을
잘 관리하고 있다는 뜻이므로 시장에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 드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장단점이 있는데요 먼저 장점은 물가가 잡혀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금리 인하를 더
공격적으로 인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단점은 물가가 급격하게 떨어져 가는 것은 앞으로 미국 경제가 침체로 들어갈 수 있다는
지표를 말하고 있습니다.
오늘 미국증시에서 투자자들이 이번 지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 수 있겠지만 대선 전까지는
긍정적인 뷰가 더 많을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8월 PCE 물가가 예상보다 낮은 2.2% 상승을 기록했다는 것은 경제와 증시에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예상치 하회라는 것은 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적었다는 의미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안정되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지고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 경제와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상치보다 낮은 물가 상승은 경제와 증시 상황에 좋은 소식일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현재 물가가 올랐다면 연준의 입장에서
금리인하 등이 어려울 수 있으나 물가가
안정되게 2% 수준을 보이는 등 하였기에
현재로써는 호재라고 보여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PCE 물가가 예상치를 하회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경제와 증시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 결정 시 중요하게 참고하는 지표입니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다는 것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Fed가 금리 인상을 멈추거나 심지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합니다. 낮은 금리는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투자를 촉진할 수 있어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주식 시장에서는 채권 대비 주식의 상대적 매력도를 높여 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 지표의 해석은 항상 전체적인 경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야 합니다. 물가상승률이 너무 낮으면 경제 침체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단일 지표만으로 경제 전체의 흐름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PCE 물가 외에도 고용 지표, GDP 성장률, 소비자 신뢰지수 등 다양한 경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와 증시의 방향을 예측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상치 보다 상회는 예상치 보다 더 높게 나왔다는 말이고, 하회는 그 반대로 더 낮게 나왔다는 말인데요. 물가가 전년대비 2.2%상승해서 예상치 하회라고 하는 것은 미국 경제 인플레이션의 하향 안정세를 재확인시켜 주며,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대폭 인하한 미국 연준의 결정을 뒷받침해주는 수치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경기침체를 의심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PCE 지표는 연준이 기준금리 산정 시 유의깊게 고려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소비자 물가 지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예상치보다 하회하면서 연준이 목표로 하는 2% 초반대와 더불어, 물가 상승률이 높지 않다는 의견에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