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대처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22개월 남자아이가 고집을 부리기 시작 했습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하고 밥도 제대로 먹으려 하지 않아요. 고집 부리면 수용 해주고 다시 해야 하는 일로 넘어가는데요. 수용해 주기 시작 하면 더 고집 부린다는 얘기가 있어서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실제로 만3세 이전에는 훈육이 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이가 양육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시기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는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고 그 마음을 양육자가 언어로 표현해주는게 좋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떄에는 부모님께서 이 고집을 잘 꺽어 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은 자아가 생기면서 이렇게 고집을 부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못이기고 들어주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되면 아이들의 고집이 점점 더 강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고집을 부리더라도 안되는것은 안된다고 확실하게 교육을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님께서 잘 해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리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에 고집을 부리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것인데요.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이 고집 및 짜증을 부리는 행동은 절대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고집, 떼, 울음, 짜증, 화를 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고집을 부리거나, 울거나, 떼를 부리거나, 짜증을 내거나, 화를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언어로 부드럽게 조곤조곤 또박또박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22개월 아이의 고집은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화를 내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차분하게 대응하는 게 좋다고 보여지며, 일관적으로 아이의 행동에 대응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22개월 아이는 고집을 부리기 시작하는 나이로, 자아가 형성되면서 자기 주장을 펼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는 자율성을 강조하고, 부모가 하는 말이나 규칙에 반항하려는 경향이 생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먹지 않으면 "밥을 다 먹어야 나가서 놀 수 있어"라고 말하고, 먹지 않으면 그 이후의 활동을 연기합니다. 그러나 유연성을 두고 너무 엄격하게 규제하지 않도록 합니다. 때로는 “조금만 먹어볼까?”하고, 아이가 조금씩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아이에게 자기 주도권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강요하기보다는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여 아이가 선택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밥을 먹을 건지, 아니면 몇 분 후에 먹을 건지 선택해봐”라고 말하며 이렇게

    선택권을 주고, 아이가 그 선택에 책임을 지도록 합니다. 고집을 부리는 아이에게는 일관성 있고 부드러운 태도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조금씩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되, 부모의 규칙을 지키게 하고, 긍정적인 피드백과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접근이 아이에게 자신감을 키워주고, 부모와 아이 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돕는 데 유익합니다. 어떻게.. 이해가 잘 되셨을런지모르겟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고집에수용하면

    1.아이는고집이강화됨

    2.강화된고집은수정이어려움

    3.아이가크면서떼가늘고말을안듣는건이런고집이수용되서그럼

    지금이라도수정하는게좋아요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고집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세요. 때로는 배고픔, 피로, 불편한 감정 등 외적인 요인 때문일 수 있습니다. 밥을 먹지 않으려는 이유가 맛이 없거나 씹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 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상태를 이해하고 조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일관성 입니다. 밥을 먹지 않으려 한다면 먹지 않으면 나중에 먹을 수 없다는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해 보세요. 한번 설정한 규칙을 반복해서 적용하는 것이며 너무 많은 선택을 주거나 유연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는 우선 마음을 이해해주면서

    감정이 가라앉힐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원하는 것을 다 수용해주지는 않습니다.

    올바른 표현 방법을 했을 때 들어주고,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