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기발한염소153
기발한염소15324.03.01

말을 하려고 하다가 멈추면 뇌세포가 사멸하나요?

말을 하다가 멈추고

그 말을 잊어버리면

왜 뇌세포가 사멸하나요?

이건 대체 무슨 원리죠?

무슨 전기 맞은 것처럼 바로 반응이 오는게 아니라

시력이 안좋아 지는 것처럼

천천히 나빠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을 하다가 갑자기 멈추고 그 말을

    잊어버리는 현상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뇌세포가

    사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우리가 경험하거나 인지하는 정보는 감각 기관을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뇌는 정보를 분석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기억 형성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정보는 뇌의 여러 영역에 연결되어

    장기기억으로 저장됩니다.

    필요할 때 저장된 기억을 검색하고 활용합니다.

    정보가 충분히 처리되지 않거나

    뇌 영역간 연결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기억이

    저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장된 기억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말을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다른 기억이나 생각이

    방해하여 원하는

    기억을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기억 형성과 회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나이가 들면서 뇌세포 손실과 신경

    연결 약화가 발생하여 기억력

    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말을 잊어버리는 모든 경우에

    뇌세포가 사멸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스트레스

    노화 신경퇴행성

    질환 등의 영향으로 뇌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기억력 저하와 기억 상실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말을 잊어버리는 과정은

    시력 저하와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시력 저하는 눈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기억력 저하는

    뇌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시력 저하는 일반적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말을 잊어버리는 현상은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는 안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지만

    기억력 저하의 치료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말을 자주 잊어버리는 경우 특히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각한 경우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을 하다가 잠시 멈추는 것이 뇌세포의 사멸을 초래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우리 뇌는 놀라운 유연성과 회복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신경세포 (뉴런): 뇌는 수많은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뉴런들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합니다. 뉴런은 시냅스라는 연결점을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2. 신경가소성 (Neuroplasticity): 뇌는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말을 하다가 잠시 멈추는 것은 뇌의 신경회로를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뉴런 간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신경가소성이라고 합니다.

    3. 뇌세포의 사멸: 뇌세포는 일반적으로 말을 잠시 멈추는 정도로 사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뇌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뉴런을 생성하고 기존 뉴런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말을 하다가 잠시 멈추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며, 뇌세포의 사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