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곰살맞은날쥐238
곰살맞은날쥐23823.08.17

수입에 몇프로를 저축해야하나요~?

여러분은 수입으로 어디어디에 저축하고 투자하나요~?

노후 자금으로는 얼마씩 저축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조금씩 나이를 들고보니 자꾸만 걱정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과 저축의 비율은 정해진건 없습니다.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분산투자 및 저축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자산 수익 분배(배분)이 중요합니다.

    노후를 위한 자금은 사적연금(연금보험 연금펀드 등)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미래에 노후와 내집마련 등

    다양한 이벤트를 위하여는 수입의 최소 40~50% 정도는

    저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수입의 2~30%는 저축하라고 하는데, 2~30대에는

    최대한 할 수 있는 데까지 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적금을 들어서 일단 종잣돈을 만들고, 그걸로 내집마련이나

    소소한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것이지요.

    노후자금으로는 간단히 계산해볼 수 있는데요.

    은퇴시점인 65세부터 평균수평 85세 정도까지, 20년 간

    일하지 않고 한 달 부부 생활비 250만 원 정도를 셈해보는 것입니다.

    단순 계산해도 1년이면 3천만 원, 20년이면 6억이죠.

    그것을 역산해서 얼마씩 모아서 불려나가면 될지

    계산해보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의 저축의 경우 개인의 상환과 나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결혼전 20,30대의 경우 최소 50%이상은 저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소비패턴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것은 개인별로 편차가 워낙 큰 부분이라 딱 꼬집어 말할 수 없지만, 소득의 30%정도는 저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부동산, 예적금에 본인 수입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세우시고 그에 맞춰서 비율을 정하시면 됩니다.

    투자에 정석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이 얼만지에 따라 다르지만 미래를 대비하여 50%는 저축을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노후자금으로 대비하는 저축 금액은 월급의 10%~15%정도를 노후를 위한 자금으로 저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나머지 자금은 노후보다는 10년이내에 집을 구입한다거나 혹은 전세를 구하는지등의 자금을 위한 자금 축적이라고 볼 수 있어요. 노후자금은 연금과 펀드로 지금 납입하고 있는데, 가급적이면 여러곳으로 조금 공격적으로 분산 투자를 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략 한 달 소비액을 보고 은퇴 후의 자금을 계산하면 됩니다

    한달 순 소비가 100만원이라면 연간 1200만원이고

    평균수명-은퇴= 보통 20년 30년정도하죠

    이렇게 최저로 잡으면 2-3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