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5

우리의 에너지로 널리 사용되는 석유는 지구에서 어떻게 생성이 되는 것인지 생성과정이 궁금합니다

우리의 에너지로 널리 사용되는 석유는 공장을 가동하고, 차량을 운행하게 하는 등 에너지자원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석유는 지구에서 어떻게 생성이 되는 것인지 생성과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원영 전문가blue-check
    이원영 전문가23.04.25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무기성인설
    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고온고압 하에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되었다는 설과 지하에서 탄화수소, 물, 황 등이 섞이면서 고온고압으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설.

    유기성인설
    태고에 지하에 매몰된 유기물이 지열과 지압, 토양의 촉매작용으로 탄화수소로 변성했다는 설.
    ① 현재 석유가 발견되는 곳은 과거 얕은 바다나 호수 밑의 대부분 퇴적암이라는 점

    ② 석유 성분 속에 질소, 황 등 불순물이 함유된 점(유기물인 단백질 분해시 발생) 석유생성성원인에 대해서는 수억 년 내지 수백만 년 전 태고때 얕은 바다나 호수 등에서 물밑에 퇴적된 유기물이 그후 지각변동에 의해 땅속 깊이 매몰되고, 그것이 지압과 지열을 받아 탄화수소로 변성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그 이유는 현재 발견되고 있는 석유의 대부분은 퇴적암에서, 특히 옛날에 얕은 바다나 호수의 물밑에 형성된 지층 속에서 발견되고 있고, 석유의 성분 속에 질소와 황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유기물인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생긴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견해에 입각하여 지하에서 석유를 생성한 퇴적암을 석유의 모암(母岩) 또는 근원암이라고 부르는데, 생성된 석유는 그후 지각 변동에 의해 이 모암을 떠나 현재의 유전을 형성하고 있는 지층 속으로 이동해 온 것이라고 합니다

    석유광상으로는 배사구조가 가장 전형적이며 배사구조는 석유가 형성되는 퇴적암을 근원암, 여기서 생성된 석유가 고이는 곳을 저류암, 고인 석유가 흘러 넘치지 못하도록 위에서 막아주는 덮개암 등으로 구성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입니다.

    현재까지는 어느 누구도 석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고 합니다.

    다만 현재 가장 우세한 가설은 생명체가 석유물질의 근원이 된다는 유기 기원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다양한 생물 사체들이 겹겹이 쌓인 퇴적물 위에 다시 침전물이 쌓이면

    지층이 누르는 힘으로 유기물 퇴적층은 높은 열과 압력을 받게 됩니다.

    퇴적층 안의 금속 이온들과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유기물들은 천천히 석유의 구성물질인

    탄화수소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천 ~ 수억년 후 천연가스와 석유는 생성이 됩니다.

    공룡도 석유가 될 수 있지 않느냐? 하는 질문도 있지만 석유와 천연가스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산소가 차단되어야만 하는데 공룡같은 육상 생물들은 죽은 후에 산소와 접촉해서

    빠르게 부패되기 때문에 석유가 되기 희박합니다.

    대부분은 식물성 플랑크톤 사체로부터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참고사이트 : https://www.youtube.com/watch?v=mGm-0N6RUl8

    (LG사이언스랜드 - 공룡이 많았던 한반도, 왜 석유는 없을까? - 석유 생성의 원리)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는 주로 고대 바다나 호수, 강 등에 살아있는 식물과 동물의 유기물이 쌓여서 지하에 저장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층은 대규모 화석연료 층이라고도 불리며, 오랜 시간 동안 지하에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으면서 유기물이 분해되고 변형되면서 석유로 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