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28

석유로 인류가 처음 에너지자원으로 사용한 것은 언제인가요

오늘 나 현재도 인류는 석유를 주요 에너지자원으로 사용중인데요 여러가지 환경오염 문제도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중요한 에너지 자원은 것은 부인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 인류가 처음으로 석유를 에너지자원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유의 가치가 발견되기 전이나 고대에는 석유를 약품[11]이나 화장품, 접착제, 선박 방수재[12] 등으로 쓰기도 했다.

    세계 최초의 석유시추는 기원후 347년 중국에서 이뤄졌다. 240미터를 시추하여 채굴하였다고 하며 이렇게 채굴한 석유는 소금 생산에 이용되었다.# 이는 석유를 연료로 이용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현대에는 186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고, 19세기 후반까지 석탄의 대체자원으로 쓰이다가 19세기 후반에 미국이 석유 보일러 선박 개발에 성공하면서[13] 단번에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 자원으로 급부상하였다. 근대 이후 해군력은 곧 국력이라는 생각 하에 열강들은 해군력 증강에 열을 올렸는데, 액체라 석탄보다 훨씬 공간을 덜 차지하는데다 에너지 효율도 더 좋았기 때문이다.[14][15] 특히 텍사스 유전이 있었던 미국은 열강들 중에서 석유생산량이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세계에서 최초로 석유를 대량사용하는 나라가 되었다. 이후 1911년에 미국이 석유만으로 기동하는 전함을 개발하여 석유의 시대가 열린다. 다만 3년 후(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 대전까지는 석탄 전함이 주류였다.

    현대 문명에 가장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석유는 의식주에 모두 사용되는 중요한 자원이다. 전 세계적으로 농업, 수산업, 공업, 수송, 통신, 전력, 군수산업 등 모든 현대적 산업은 석유자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16]

    자동차, 비행기, 선박, 공장등의 동력으로 사용, 제철소, 화력발전소, 시멘트(제지, 그라스)공장의 열 발생용, 합성섬유, 농산물 재배 시 비료, 농약등의 사용물품, 스포츠용품, 컴퓨터 회로기판 등으로 쓰이는 플라스틱, 의류에 쓰이는 합성섬유, 합성고무, 완구, 샴푸, 입욕제, 화장품 화학제품 등의 원료용으로 사용된다.# 석유에서 추출한 플라스틱 섬유(합성섬유)가 의류에 쓰이는가 하면, 건물의 자재엔 석유에서 추출한 각종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식품에도 석유에서 추출한 물질이 첨가되기도 한다. 여기서 거론한 것도 극소수의 사용 용도에 불과하다. 일상생활에서 석유가 활용되지 않은 물건은 없다.

    국내 석유 소비량의 32.6%가 운송(자동차,배,비행기) 분야에서 쓰이고 59%가 석유화학(플라스틱,고무,합성섬유) 분야에서 쓰인다. 즉 사람들이 모두 전기차를 타게 된다고 해도 석유의 시대는 절대 끝나지 않는다. 가정/상업 분야에서는 5%가 쓰이고 발전소에는 2.2%, 가스 제조에는 1.3%가 쓰인다

    연료 뿐만 아니라 도로에 쓰이는 아스팔트, 플라스틱 제조, 화학 물질 제조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도 쓰인다. 석유에서 추출되는 정제물은 교통수단에 많이 사용된다.

    총평하자면 석유는 단 한 방울도 버릴 게 하나도 없는 자원이다. 심지어 남는 찌꺼기인 잔여물도 아스팔트, 윤활유, 껌등으로 활용될 정도이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화학공학의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는데 아예 화학공학이라는 학문의 기원과 역사 자체가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발생하는 정유/석유화학 플랜트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석유의 큰 문제점의 하나는 산출 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산출지와 소비지의 거리가 멀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그 산유 지역은 제국주의적 경쟁의 무대가 되고 수송을 위한 철도나 선박 항로, 파이프라인은 언제나 국제 정치의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 석유의 유정 생산 원가는 나라마다 차이가 큰데 중동 지역은 대략 10달러 이하 미국은 20달러, 북해 유전은 44달러 정도이다. 단거리는 철도로 수송하지만 수백 km 가 넘어가면 파이프라인으로 수송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파이프라인을 깔기에 너무 멀면 유조선으로 수송한다. 참고로 거리에 따라 다르지만 미국의 경우 수송비가 철도 수송이 가장 비싸서 평균적으로 배럴당 6-10 달러 인데 같은 거리의 파이프라인으로는 배럴당 3-4 달러로 수송비가 1/3-1/2 정도밖에 들지 않는다. 다만 파이프라인은 건설비가 매우 비싼데 별다른 장애물이 없는 평지의 경우 1km 당 약 1백만 달러 정도 건설비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흑해 연안과 지중해 동북부까지 연결하는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은 1,768 km 의 거리지만 산맥 등 험한 산악지형 때문에 무려 55억 달러의 건설비가 들었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독일 동북부까지 연결하는 1,230 km 의 노르트스트림2 해저 파이프라인은 무려 95억 유로의 건설비가 들었다.

    출처: 나무위키 석유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유는 어떻게 생긴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다만 가설로 카바이드설, 화산원설, 우주원설등이 있구요.(http://100.naver.com/100.php?mode=all&id=90264 <---이곳에 더 자세한 내용이 있습니다)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셨음 좋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유의 역사는 1859년 에드윈 드레이크가 석유를 증류하여 등유를 만들면서 시작됐다. 오일 러시(oil rush)가 급속하게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로 확산되자 모두가 〈자이언트〉 영화 속의 제임스 딘처럼 석유로 횡재하기를 바랐다.

    -출처:월간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