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3.05

우주의 별 크기는 어떤 물질에 의해 정해지나요?

우주에 있는 수많은 천체의 크기는 다 다르잖아요.

이 크기를 결정하는 물질이나 원인은 무엇일까요?

또, 수명이 다해갈수록 별의 크기는 커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별 크기는 초창기 생성시에 정해지기도 하지만 행성에 다른 이물이 붙으면서 크기가 점점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체의 크기는 그것들이

    형성될 때의 초기 조건과

    핵융합 과정에서의 물질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성운에서 별이 형성될 때 그 영역에 있는 가스와

    먼지의 양과 분포는

    최종적으로 별의 질량을

    결정짓습니다

    별의 질량은 그 별의 수명과 진화 과정에서의 크기

    변화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별이 수명을 다할수록 그 크기가 변하는 것은

    핵융합 연료의 소진과 관련이 있습니다

    별의 생명주기 중 핵에서

    수소 연료가 소진되면

    핵이 수축하고 주변의 층이 확장되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별은 레드 자이언트로 변하고

    크기가 커집니다

    이 과정은 별의 질량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매우 무거운 별들은 수명의 마지막에

    슈퍼노바를 거쳐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주계열성)의 크기는 처음 별을 이루게 된 성운(성간물질)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매우 많은 양의 성간물질이 모여서 별이 만들어지는 경우는 처음부터 크기가 큰 별이 됩니다. 주계열에 있는 동안은 중심핵에서의 수소핵융합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중심핵에 있는 수소가 모두 고갈되면 핵을 둘러싼 외각부에서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중심핵에서는 수소핵융합으로 만들어진 헬륨의 핵융합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별의 크기가 증가하며 표면 온도는 낮아져 적색거성으 단계로 들어갑니다.

    이루 별의 크기에 따라 백색왜성이 되거나 초신성 폭발을 통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진화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초기에 뭉치는 물질들의 양에따라 크기가 결정되고, 수명이다할 쯤 내부 팽창압력이 강해지면서 점점커지는 거성의 형태로 변화하다가 폭발하게 됩니다.

    예외로 계속해서 크기가 변화하는 변광성형태의 항성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별 크기는 크게 초기 질량중력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1. 초기 질량

    • 별은 거대한 가스 구름의 붕괴로 형성됩니다.

    • 가스 구름의 중심부가 충분히 뜨거워지고 밀도가 높아지면 핵융합 반응이 시작되어 별이 탄생합니다.

    • 이때, 별의 초기 질량은 별의 크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초기 질량이 클수록 더 큰 별이 형성됩니다.

    2. 중력

    • 별이 형성된 후, 중력은 별의 크기를 결정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인입니다.

    • 중력은 별의 가스를 압축하여 별의 핵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 중력이 강할수록 더 큰 별이 형성됩니다.

    3. 별의 크기와 질량에 따른 분류

    • 별의 크기와 질량에 따라 별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대표적인 별의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거대별: 태양 질량의 100배 이상

      • 거대별: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

      • 중간 질량 별: 태양 질량의 0.5배 ~ 10배

      • 적색 왜성: 태양 질량의 0.5배 이하

    4. 별의 크기가 중요한 이유

    • 별의 크기는 별의 밝기, 수명, 핵융합 반응의 종류 등 다양한 특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 또한, 별의 크기는 행성의 형성과 진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따라서, 별의 크기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 있는 천체의 크기는 주로 그 천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양과 압력, 중력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별의 크기는 초기에 형성된 분자 구름의 밀도와 온도, 중력과 열핵 반응에 의한 에너지 방출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명이 다해갈수록 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별이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중심 부분의 압력이 감소하고, 외부 부분의 중력이 압도하는 결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별은 적색거성, 적색거성, 행성상 성 등으로 진화하며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천체들은 태어날 때의 질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됩니다. 질량이 큰 별은 태어날 때부터 크고, 질량이 작은 별은 태어날 때부터 작습니다. 별의 수명이 다해갈수록 크기는 일반적으로 커집니다. 주계열성 단계를 마치고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별은 수축했던 핵을 제외하고 겉면이 크게 팽창합니다. 하지만 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진화하기 때문에 크기 변화도 다양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다양한 크기의 천체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크기는 해당 천체를 구성하는 물질과 그들의 질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별은 수소와 헬륨 같은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질량이 별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별의 수명과 크기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별은 수명이 다해갈수록 더 많은 연료를 소모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별의 질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우주의 별 크기는 다양한 물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별은 수소와 헬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비율에 따라 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별의 질량과 압력 온도 등도 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우주의 천체들의 크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명이 다해갈수록 행성의 크기가 줄어들진 않습니다. 행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생성 초기에 어떤 환경에 놓였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행성의 생성에 관해서도 여러가지 의견이 있는데 중심의 핵을 두고 주변에 먼지 알갱이들이 뭉쳐 행성이 만들어 지는 것인데 주변에 얼마나 많은 먼지, 암석 등이 있냐, 그리고 끌어들이는 중심의 힘이 얼마나 강하냐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집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별 크기는 중력과 핵융합 압력의 균형점에서 결정됩니다. 이 두 힘은 별의 크기와 밀도를 조절합니다.

    1. 중력: 중력은 별 내부를 향하는 힘입니다. 별의 질량이 중심으로 당겨지는 힘으로, 별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탱합니다. 중력이 별 내부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핵융합 압력: 별은 핵융합 반응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데, 이 과정에서 엄청난 압력이 발생합니다. 핵융합 압력은 별 외부를 향하는 힘이며, 별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폭발 압력이 중력보다 클수록 별은 커지고, 그 반대의 경우 작아집니다.

    따라서 별의 크기는 이 두 힘의 균형점에서 결정되며, 별이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든 중력과 핵융합 압력에 의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수소 핵융합으로 인한 폭발압력이 중력보다 클 수록 별의 크기가 커지고 반대로 중력이 폭발 압력보다 클수록 별은 작아집니다

    연료를 모두 소진하게 되면 팽창을하게 되어 부푼상태가 계속되면 폭발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