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1038283
103828323.02.19

아기 어린이집은 보통 언제쯤 보내나요?

아기가 아직 7개월이긴한데욤

보통은 어린이집은 언제보내나요??

3살때 보통보내야하는건가요??

제친구는 8개월차에 둘째를 보낸다던데

집에서 어느정도 생활하고 3살에 보내는게

애착형성에도 맞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어린이집 보내는 시기가 언제인지가 궁금하군요.

    주양육자와 애착형성을 하는 시기는 아이마다 개인 차가 있겠으나 보통 생후6개월~생후24개월까지입니다.

    이 시기의 애착형성은 아이의 사회성 발달 및 향후 성장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에게 애정 표현을 많이 하고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낯가림은 생후 6개월경에 시작해서 11~12개월 정도에 끝이 납니다.

    애착형성은 낯가림과 분리불안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사항을 잘 염두하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아휴직을 1년 동안 부여하는 이유도 최소한 1년은 주양육자의 양육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집에서 엄마와 함께 생활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으면 일찍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두돌즈음이나

    우리나라 나이로 3살이 될 때 어린이집을 많이 가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어린이집을 보내는 시기는 맞벌이 부부일 경우와 외벌이 부부

    일 경우가 다릅니다. 외벌이 부부일 경우 보통 4세에 보낸다고 합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는 어쩔수 없이 돌 전에보내는 경우도 있고 돌 이후에 보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아이를 봐줄 상황이 아닌 경우 더 이른시기에 보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능하면 어린이집을 늦게 보내는 것이 아이 정서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와 아기의 애착 형성을 위해선 최소 36개월까지는 엄마와 함께 있는 것이 아이의 정서에 안정감이 들 것 같습니다.

    면역력이 어느 정도 생기면 그 때 보내도 늦지 않을 것 같아요.

    어린이집은 아무래도 집단 생활을 하다 보니, 면역력 약한 아이들이 함께 하는 곳이기도 하므로, 한 두명의 아이가 감기에 걸리면 옆에 있는 아가들도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많답니다.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기고 의사표현을 할 수 있을 때 그 때 보내도 전혀 늦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저는 맞벌이다보니 12개월부터 보내긴 했는데 여건이 되시면 3살때 부터 보내시는 것도 좋습니다. 3세면 말귀가 통하는 나이고 배변훈련을 어린이집에서 한창 시작할 시기이기에 추천을 드립니다.(질문자님이 작성한 바와 같네요 ^^)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또래놀이를 하게되는 만3세정도에 보내시는게 좋습니다.

    가급적 가정에서 부모님과 대화와 소통, 스킨쉽을 통해 건강한 애착형성을 하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애착형성의 결정적 시기가 36개월 까지이기에 그 시기를 잘 보내고 어린이집에 보내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긴 합니다.

    하지만 여건과 여력이 안된다면 일찍 보내셔도 배우는 것도 많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등 긍정적인 영향도 많습니다.

    여건과 여력이 되시면 데리고 계시면서 애착형성을 조금 더 안정적으로 잘 하시다가 세 돌 지나서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