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핫한수염고래172
핫한수염고래17221.06.10

길고양이한테 물렸는데 주사 맞아야 하나요?

길고양이한테 물렸는데 입었던 바지가 뚫리고 손톱 자국이랑 이빨 자국 상처가 났어요. 크게 다친 건 아닌데 사람이 기르는 고양이가 아니라 길고양이라 좀 걱정입니다.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길고양이에 물렸을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질문자님의 과거 파상풍 예방접종 여부와 상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처치 방법이 달라집니다.

    1) 과거 3회 이상 파상풍 예방접종을 받으셨다면

    추가적인 파상풍 예방접종이나 치료제 (면역글로불린) 접종이 필요하지 않고

    상처에 대한 처치 및 항생제, 소염진통제 등의 투약으로 치료가 이루어지지만

    2) 과거 3회 미만으로 파상풍 예방접종을 받으셨거나 접종력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파상풍 예방접종과 더불어 치료제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해당하시는 경우 가급적 빨리 병원에 방문하시어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야생 동물의 이빨에는 세균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로 인해서 물리게 되면 감염이 잘 생깁니다.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여 항생제 주사나 항생제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봉합이 필요한 상처인지도 보아야 하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양이에 물리셨지만 이빨 자국 정도만 남으신 것이라면 이빨이 피부 장벽을 뚫고 피하층에 손상을 입으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으면 그냥 경과를 지켜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응급실 가서 주사를 맞으시기 바랍니다.

    상처 소독이라도 하셔야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물에기 물렸을 경우에는 파상풍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항생제주사를 맞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문 동물이 예방접종을 잘 받았는지 확인하는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상처의 상태를 직접 보지 못하여 정확한 답변을 하는데 한계가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상처가 나신 이후 소독을 잘 받으셨는지요?
    파상풍 예방접종을 하시고 10년이 지나셨다면 예방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물에 물려 발생한 상처는 비눗물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도록 한다.
    얼굴이나 두피에 발생한 6시간 이내의 깨끗한 상처는 상처 발생 시 바로 봉합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외 부위에 발생한 상처는 깨끗이 씻어내고 주변 죽은 조직을 제거하고 24~48시간 후 다시 평가하여 봉합하게 된다.

    광견병 위험 동물에 물렸을 경우에는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일반 병원에는 준비되어 있지 않으나 정해진 절차를 거친 후 희귀의약품센터를 통해 구할 수 있으므로 바로 병원에 방문할 것을 권하고 있다.
    광견병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숙주 동물로는 개, 늑대, 너구리, 스컹크, 코요테, 박쥐 등이 있다. 다람쥐, 햄스터, 기니피그, 들쥐, 집쥐, 생쥐 등은 광견병 발생이 매우 드물어 사후 백신 접종이 필요하지 않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