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3

고려장은 실제로 존재했던 풍습이었는지 설화였는지 궁금합니다.

옛날에 나이든 부모를 다른 곳에 버려두고 왔다는 고려장이라는 것은 실제로 존재했던 풍습이었는지 아니면 사람들이 지어낸 설화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1.13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장은 늙고 병든 부모를 산속에 버렸다는 풍속 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고려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고려시대때도 효에대한 것이 엄격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장이란 말은 우리 나라 어떤 역사책에도 정확한 기록이 없습니다. 아마도 일제 시대를 거치면서 조선 시대의 사람들이 생활상을 비하하면서 만들어낸 조작된 역사의 일부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아마도 그것이 더 합리적인 추측 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장의 이야기는 옛날부터 우리 나라와 맞지 않은 풍습 입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부모님을 섬기면서 살아 왔습니다

    그리고 돌아가셨을 때도 3년 상을 치룰 정도의

    효심이 있었던 민족 입니다.

    고려장은 일제시대 우리의 문화를 나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늙은 부모를 산속의 구덩이에 버려두었다가 죽은 뒤에 장례를 지냈다는 풍습으로 오늘날에도 늙고 쇠약한 부모를 낯선 곳에 유기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고려(高麗)라는 명칭 때문에 우리나라 고려 시대에 있었던 장례 풍습처럼 인식되고 있지만, 이러한 풍습이 있었다는 역사적 자료나 고고학적 증거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풍습과 관련된 설화는 비단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나타난다. 설화가 전래되는 과정에서 마치 이러한 풍습이 실재했던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으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고려장(高麗葬)이라는 명칭이 굳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는 조부모나 부모가 살아 있는데 그 자손이 호적과 재산을 달리하여 공양을 하지 않거나 부모나 남편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도 슬퍼하지 않고 잡된 놀이를 하는 자는 법으로 엄격히 처벌하는 등 효(孝)를 매우 강조하였다. 장례 풍습은 불교식 의례를 근간으로 하였으나, 국가에서 상복 착용의 기간을 오복(五服) 제도로 법제화할 정도로 유교적 의례도 중시하였다. 또한 화장과 매장이 일반적이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이 풍장을 하는 경우가 있었을 뿐이다. 노부모를 산에 버렸다는 풍습이 있었다는 역사적 자료는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노부모를 제대로 공양하지 않아도 불효죄로 매우 엄격히 처벌했던 당시의 윤리의식과도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려시대 이전 국가들의 장례 풍습을 기록하고 있는 《삼국지(三國志)》 등의 기록에서도 그러한 풍습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되는 자료들도 없다.


    노부모를 산에 버리는 고려장의 풍습에 관해서는 몇몇 설화들만 존재한다. ‘기로전설(棄老傳說)’이라고 불리는 설화는 70살이 된 늙은 아버지를 풍습대로 아들이 지게에 지고 산중에 버리고 돌아오려고 하는데, 함께 갔던 손자가 나중에 아버지가 늙으면 지고 온다며 그 지게를 다시 가져오려고 하자, 아들은 아버지를 다시 집으로 모셔 지성으로 봉양했다. 이후 풍습이 없어졌다는 설화다. 그리고 ‘노모의 지혜’라고 불리는 설화는 한 관리가 늙은 어머니를 풍습대로 산에 버리려 했는데, 어머니는 아들이 돌아가는 길을 잃을까봐 가지를 꺾어 표시를 했고 관리는 차마 어머니를 버리지 못하고 다시 집으로 모시고 왔다. 어느날 중국의 사신이 노새 두 마리를 가져와 어미와 새끼를 알아맞히라고 하여 모두 풀지 못했는데, 관리의 어머니가 굶긴 뒤에 여물을 주어 먼저 먹는 놈이 새끼라고 알려 주어 문제를 풀 수 있었고, 그 뒤로 늙은 부모를 버리는 풍습이 없어졌다는 이야기이다. 지역에 따라서 이야기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며, 늙은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늙은 부모를 산에다 버리는 풍습을 소재로 한 설화는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아시아 각국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자식 때문에 깨달음을 얻어 늙은 아버지를 잘 봉양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중국 당(唐) 시대 이후에 전승된 《효자전(孝子傳)》의 원곡(原穀) 이야기와 유사하고, 늙은 부모의 지혜로 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하게 된다는 이야기는 인도의 《잡보장경(雜寶藏經)》의 기로국(棄老國) 설화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일부 학자는 ‘기로(棄老)’가 ‘고려’ 내지는 ‘고구려’로 변화하여 자리를 잡으면서 고려장이라는 명칭이 나타났고, 이러한 풍습이 실재했던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곧 고려장이라는 명칭은 ‘기로장(棄老葬)’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변화한 것으로, 고려와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또한, 고려장이라는 명칭은 20세기 초까지 노부모를 유기하는 장례풍습보다는 연고를 확인할 수 없는 ‘고분(古墳)’을 이르는 말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고려총(高麗塚)·고려산(高麗山)·고려곡(高麗谷)·고려분(高麗墳)이라고도 하였다. 1908년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일본인의 도굴 사건과 관련해 ‘고려장 굴총(掘冢)’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으며, 1916∼17년에 조선총독부 식산국에서 조사한 《고적대장(古蹟臺帳)》에도 고려장은 고분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고려장이라는 용어가 노부모를 산에 버리는 장례 풍습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 것이 처음 확인되는 기록은 미국의 그리피스(William Elliot Griffis)가 일본에 머무르며 1882년에 발간한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 The Hermit Nation)》이라는 책이다. 이 책에서 그리피스는 한국의 고대 사회에서 노인을 산 채로 묻어 버리는 고려장과 산신이나 해신에게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인제(人祭)가 성행했다고 서술하였다. 하지만 그리피스는 역사학이 아니라 자연과학을 전공한 학자로 일본 정부의 초빙으로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의 전신인 도쿄가이세이학교[東京開成學校]에서 강의했으며, 일본이 주체가 되어 조선에서 미신과 전제왕권을 몰아내고 서구문명과 기독교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인물이다. 그는 한국을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본의 자료들에만 의존해서 한국의 역사와 풍습에 대해 서술했는데, 한국에 대한 편견에 기초하여 일부 설화의 내용을 마치 역사적 사실인 양 왜곡하여 서술했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에 기로(棄老) 설화들이 각종 설화집과 동화책 등에서 소개되면서 고려장이라는 풍습이 마치 역사적 사실인 양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1919년 미와다 다마키[三輪環]가 펴낸 《전설의 조선》과 1924년과 1926년 조선총독부와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가 펴낸 《조선동화집》 등에서 이 설화들이 수록되었고, 이후 1948에 발간된 이병도(李丙燾)의 《조선사대관(朝鮮史大觀)》, 1963년에 발표된 김기영(金綺泳)의 《고려장》이라는 영화 등을 통해 그러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장은 설화입니다.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고려장이라는 용어가 해당 설화와 결합한 것은 10세기 말~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입니다.